낸드 시장점유율 33.8%로 1위 지켜
D램 점유율도 전분기 대비 4.4% 포인트↑
“원가 경쟁력 앞세워 점유율 확대”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글로벌 경기침체로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매출이 줄어든 가운데 삼성전자는 오히려 시장점유율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대만의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전 세계 낸드 매출은 102억9000만달러로 전분기 대비 25% 감소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낸드 수요 급감으로 가격 역시 하락한 영향이다.
업체별로 보면 업계 1위 삼성전자의 4분기 매출은 34억8000만달러로 전분기보다 19.1% 감소했다. 다만 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 31.4%에서 33.8%로 2.4%포인트 늘려 업계 1위 자리를 지켰다.
트렌드포스는 다른 업체와 달리 삼성전자가 감산 계획이 없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트렌드포스는 “최근 몇 년 동안 경쟁업체들이 삼성전자의 선두 자리를 위협하고 있었다”며 “이 때문에 삼성전자가 설비 투자와 연구개발(R&D)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에 이어 시장 2위인 일본 키옥시아는 4분기 매출이 전분기보다 30.5% 감소한 19억6800만달러로 집계됐다. 시장점유율은 19.1%로 전분기보다 1.5% 포인트 하락했다.
SK하이닉스와 자회사 솔리다임의 4분기 매출은 전분기보다 30.9% 줄어든 17억5600만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시장점유율은 18.5%에서 17.1%로 소폭 감소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 글로벌 낸드플래시 매출이 전분기보다 8.1%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삼성전자를 제외한 다른 주요 업체들이 1분기까지 생산량을 감산해 과잉 재고 상황은 완화될 수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가격 하락 폭이 전분기보다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D램 시장 매출도 감소세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은 전분기보다 32.5% 감소한 122억8100만달러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의 4분기 매출은 55억4000만달러로 전분기보다 25.1% 감소했지만, 시장점유율은 40.7%에서 45.1%로 4.4% 포인트 상승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른 D램 제조사들은 매출과 함께 점유율도 동반 감소했지만, 삼성전자는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며 “삼성전자가 우월한 원가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