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대상지역 2주택, 중과대상서 제외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최근 부동산시장 악화와 거래절벽 해소, 국민생활 안정을 위해 부동산 중과세율 관련 세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행 지방세법은 실수요자 보호와 투기목적을 가진 주택수요 차단을 위해 다주택자와 법인이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취득세 중과세율(8%, 12%)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주택시장은 금리인상, 매수심리 위축 등 영향으로 거래량이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하는 등 거래절벽이 심화되고 있다. 또 전국적으로 미분양주택이 증가하는 등 중과제도 도입 당시와 달리 시장이 급변하면서 장기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택거래량의 경우 지난해 11월 기준 3만220건으로 전년 6만7159건 대비 55.0% 감소했으며, 미분양주택은 2021년 12월 1만8000호에서 2022년 10월 4만7000호, 2022년 11월 5만8000호로 급증하고 있다.
특히, 주택취득에 대한 조세부담이 커짐에 따라 거래가 단절되고, 이로 인해 부동산 중개업, 인테리어 등 연관산업 위축은 물론 지자체 세수 감소로 이어져 지방 행정운영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현행 취득세 중과 세율을 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월 규제지역 대폭해제 조치로 취득세 중과대상이 축소됐으나, 조정대상지역 2주택 이상 및 비조정대상지역 3주택 이상은 여전히 중과세율을 적용받게 돼 세부담이 여전하단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지방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법안은 조정대상지역 2주택은 중과대상에서 제외해 일반세율을 적용토록 하고, 3주택 이상과 법인에 대해서는 중과세율을 현행보다 50% 인하했다. 과도한 세부담 완화를 통해 주택거래를 정상화하고 국민 주거안정성도 높이겠단 취지다.
구 의원은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는 임대 목적의 주택구입을 감소시켜 전월세 불안을 가중시키고, 비수도권의 경우 미분양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며 “주택가격 폭등기에 도입된 과도한 취득세 중과규제를 개선하는 것은 거래절벽으로 인한 지자체 세수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