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제 기준 지역→운항거리 개편
정부·여당, 재검토 주문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염현아 기자] 오는 4월 도입 예정인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개편안을 두고 소비자 비판이 거세지자 정부도 나섰다. 대한항공에 합리적인 마일리지 공제 방안 검토 주문 등 압박 수위를 높이는 분위기다. 대한항공은 마일리지 개편안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19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대한항공은 고객들에게 코로나 기간 살아남게 해줘 감사하다는 눈물의 감사 프로모션을 하지는 못할망정 불만을 사는 방안을 내놓았다"며 "대한항공이 자신들의 이익에만 진심이고 고객에 대한 감사는 말뿐이라는 불만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대한항공은 오는 4월 1일부터 마일리지 공제 기준을 지역에서 운항거리로 바꾸는 내용의 개편안을 내놨다. 그동안 4개 지역으로 나눠 적용하던 마일리지 공제 기준을 운항 거리별로 세분화하는 것이다. 개편안이 시행되면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단거리 노선은 공제율이 축소되는 반면 장거리 노선은 마일리지가 더 많이 필요하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도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개편안이 공정한지 심사를 진행 중이다. 개편안 시행 전 공정위가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약관이 불공정하다고 판단해 시정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당도 비판 수위를 높이는 분위기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도 17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한항공은 마일리지 공제 방안을 재검토하라"고 주문했다. 이런 정부여당의 비판 기조는 민생 안정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한항공은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을 당시 국책은행을 통해 금융지원을 받고, 고용유지 지원금 혜택을 받아 운영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엔데믹 전환으로 여행 수요가 회복되자 대한항공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냈다.

이런 실적 호조에도 혜택을 축소하면서 여론이 악화했다. 이에 대한항공은 다음 주 추가적인 소비자 혜택 방안이나 마일리지 개편안 시행을 연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