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대 수협중앙회장에 노동진 전 진해수협 조합장 당선
공적자금 굴레 벗고 금융부문 지주사 전환···수협은행 중심 추진 계획 이행
수익성 악화·인력난 이중고 시달리는 어업계···고충 해소 방안 마련 시급
노 당선인 역할 막중···금융지주 전환 맞춰 지원 물론 어민 현안 면밀히 살펴야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차기 수협중앙회장으로 노동진 전 진해수협조합장이 당선됐다. 공적자금 전액 상환 이후 첫 회장인 만큼 새 수장으로서 어떤 청사진을 제시할 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포스트 공적자금' 시대를 맞아 새로운 먹거리로 지목한 금융부문의 지주사 전환과 함께 어민 민원·고충 해결 등 산적한 과제를 어떻게 해결할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제26대 수협중앙회장으로 노동진 전 진해수협 조합장이 당선됐다. 수협중앙회장 투표는 접전 양상이었다. 1차 투표에서 결정이 나지 않아 결선투표를 치렀다. 수협중앙회장 선거는 1차에서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차지하지 못하면 결선투표를 진행한다. 결선투표에서도 동률이 나오면 연장자가 당선된다. 이후 노 당선인이 47표를 얻어 45표를 기록한 김덕철 전 통영수협 조합장을 두 표 차로 꺾고 당선을 확정했다.
노 당선인은 진해수협 조합장, 수협중앙회 비상임이사, 진해수협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창원시 수산조정위원회 위원, 경상남도 해양공간관리지역협의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다음달 27일 취임하며 임기는 4년이다.
노 당선인은 수협중앙회 공적자금 상환 이후 첫 회장이다. 지난해 수협중앙회는 2001년 정부로부터 수혈받은 공적자금 1조1581억원 중 잔액 7574억원을 21년 만에 모두 상환했다. 그 동안 경영 독립성을 회복하기 위해 공적자금 조기 상환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운영을 이어 나갔다면 차기 회장은 수협중앙회의 숙원 과제 해결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무엇보다 노 당선인의 최우선 과제는 수협중앙회의 금융지주 전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협중앙회는 지난해 11월 공적자금 조기상환 기념식에서 금융지주 설립 추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방식은 농협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호금융을 비롯해 노량진수산, 수협유통, 수협사료 등의 사업은 수협중앙회가 현행대로 관리하거나 경제지주를 설립해 관리하고 온전한 금융업은 금융지주를 설립해 지분 100%를 수협중앙회가 보유하는 방식이다. 수협중앙회가 제시한 금융지주 설립은 수협이 수협은행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은행지주회사 출범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은행지주회사를 출범하기 위해서는 금융지주회사법에 따라 은행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회사를 보유해야 한다. 현재 수협중앙회가 지분을 쥐고 있는 금융회사는 수협은행뿐이다.
수협중앙회는 상반기까지 자산운용사와 같은 소형 비은행 금융회사를 우선적으로 인수한다는 계획이다. 기본적인 금융지주 설립 요건을 갖추면 오는 3분기 금융당국에 금융지주 인가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지주 전환과 동시에 어민들의 민원과 고충도 해결해야 한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이후 어업계는 이중고에 빠졌다. 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사료와 어분 가격이 치솟았다. 동시에 양식장 유지 비용 또한 상승하면서 어민들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는 상황이다.
인력난도 어민들의 핵심 고충이다. 코로나 확산 당시 외국인 노동자들이 국내로 들어오지 못하면서 인력 확보에 실패했다. 코로나 사태가 확산되던 2020년 외국인 노동자 18만1000명으로 줄었으며 최근에는 15만9000명으로 빠르게 감소했다. 이마저도 상당수가 제조업에 종사하면서 인력 부족이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지주 전환은 업계 내에서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사안인 만큼 노 당선인의 역할이 막중하다"며 "수협은행 중심의 금융지주사 전환에 발맞춰 지원해야 하는 것은 물론 코로나 사태로 손실된 어촌계 인력 보충과 물가 상승에 따른 어장 유지비 등 어민들의 고충 해소 방안도 시급한 해결 과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