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여객 수요 회복 속도 LCC대비 더뎌···중국운항 제한으로 타격받아
미국·유럽 등 장거리 노선 운항 확대 계획···지난해 화물사업 대체할지 기대 모아
재무구조 개선은 과제···향후 대한항공과 합병 시 시너지 효과 줄일 수 있어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최근 저비용항공사(LCC) 위주로 여객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는 상대적으로 더딘 회복세를 보이는데, 장거리 노선 운항을 확대하며 정상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향후 장거리 노선 운항이 아시아나항공의 재무구조 개선에 도움이 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16일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월 아시아나항공은 70만5588명의 여객을 운송했다. 같은 기간 제주항공(71만4761명)보다 다소 적은 여객을 운송했다. 실적과 별개로 여객 운송은 뒤처지고 있다.

최근 일본 여행 인기 흐름에 발맞춰 제주항공 등 LCC 업체들이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월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의 여객 수는 각각 113만4876명, 78만7424명을 기록했다. 올해 1월과 비교했을 때 양사의 여객 수는 각각 62%, 91% 수준으로 회복됐다.

더딘 여객 수요 증가엔 중국노선 운항 제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까지도 중국노선은 비자 발급이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2018년 아시아나항공은 주간 국제 운항 613회 중 중국노선 운항이 207회를 차지할 정도로 중국노선에서 강세를 보였다.

물론 여객 수요와 별개로 지난해 실적은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1~3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4조815억원, 영업이익 6175억원을 기록했다. 화물사업에 힘입어 전년 동기 매출액 2조7529억원, 영업이익 2440억원 대비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4분기 일본노선 운항 실적이 반영될 경우, 개선 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 실적변화. 지난해 화물사업 호조에 힘입어 1~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아시아나항공 실적변화. 지난해 화물사업 호조에 힘입어 1~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올해는 화물사업 호조가 한풀 꺾여, 장거리 노선 운항으로 호실적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현재 미국·유럽 등 고수익 장거리 노선 운항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달엔 코로나19 기간에 화물기로 개조했던 7대 항공기를 다시금 여객기로 복원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단거리 노선을 지속 확대하면서도 장거리 노선 운항을 늘려나갈 계획이다”며 “뉴욕노선의 경우 코로나19 이전 주 12회 운항하던 것을 10회 운항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미주노선에 비해 회복이 더뎠던 유럽노선도 회복해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장거리 노선 운항으로 화물사업 수익을 대체할지 기대를 모은다. 최근 연속된 영업이익 흑자에도 아시아나항공의 재무구조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어, 재무건전성 강화가 향후 과제로 떠오른다.

지난해 3분기 연결기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1만297%에 이른다. 일반 기업의 경우 부채비율이 200% 미만이어야 건강하다고 평가된다. 지난해 항공업계가 전반적으로 부채가 늘었다고 해도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높은 편이다. 연결기준엔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종속기업의 재무 상태가 반영된다. 

영업이익에선 흑자를 기록했어도 외화부담이 커지며 당기순손익에선 손실을 봤다. 3분기 아시아나항공의 당기순손실은 2274억을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80여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제주항공의 항공기 보유대수 38대에 비해 두배 이상 많다. 외화로 항공기 리스비 등을 계산하는 업계 특성상 비용 부담이 더 큰 상황이다. 

결손금은 1조3832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2271억원보다 1561억원 늘었다. 결손금은 자본의 감소분을 의미한다. 재무구조 악화는 향후 대한항공과 합병 시 시너지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과 관련해 경쟁 당국의 승인이 이뤄지고 있다. 이달 유럽연합(EU)의 심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현재 9개 필수 신고국가(미국·EU·일본·튀르키예·대만·베트남·한국·중국·태국) 중 EU와 미국, 일본만 심사를 남겨두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