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휴대폰가입자 중 74%, 통신대리점 통한 구매
알뜰폰 10명 중 9명, 자급제 이용 중인 것과 대비
“통신대리점 중심 유통구조가 가계통신비 높여”

이미지 = 정승아 디자이너
자급단말 이용률 현황 / 이미지 = 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국내 무선통신 가입자 10명 중 2.5명이 자급제 스마트폰을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자별로 보면 알뜰폰 가입자의 자급제폰 이용률이 90%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늘었다. 반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경우, 여전히 자급제보다 유통망을 통한 판매가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이다. 특히 국내 휴대폰 가입자의 74%가 통신사 유통망을 통해 스마트폰을 구매했다. 이통사 대리점 위주의 유통구조는 소비자 단말기 선택권 확대 및 가계통신비 절감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 자급제폰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단 지적이다.

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자급제 단말 보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이동통신사(MNO) 및 알뜰폰(MVNO) 가입자의 24.71%가 자급제 스마트폰을 이용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10개월 전인 2021년 12월과 비교해 4.3%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과기정통부가 공개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국내 휴대폰 가입자수는 5560만6217명으로, 1374만296명이 자급제 단말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했다.

사업자별로 보면 지난해 10월말 기준 알뜰폰 가입자의 자급제폰 이용률은 2021년 12월 대비 7.05%포인트 늘어난 89.55%로 집계됐다. 알뜰폰 가입자 10명 중 9명이 자급제폰을 이용 중인 셈이다. 이는 고가의 통신3사 5G 요금제와 통신 품질에 대한 불만으로, 자급제를 통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에 가입하는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동통신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통신3사 가입자의 자급제폰 이용률은 2.42%포인트 늘어난 15.15%로 나타났다. 통신3사 가입자의 자급제폰 이용률 역시 늘고 있지만 여전히 가입자의 85%가 통신사 유통망을 통해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있는 셈이다. 이 기간 통신3사의 순수 휴대폰 회선 기준 가입자 수는 4845만6089명에 달했다. 통신사 유통망을 통한 스마트폰 구매자수는 약 4119만명에 달한 셈이다. 이는 국내 휴대폰 가입자수의 74%가 통신사 유통망을 통해 구매한단 의미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이통사 대리점 위주의 유통구조는 소비자 단말기 선택권 확대 및 가계통신비 절감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가계통신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선 자급제폰(중고폰 포함)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5G 상용화와 이동통신 단말기 고가화로 소비자의 가계통신비 부담이 심화했다”며 “통신비와 단말 구매비가 합쳐지는 바람에 소비자들은 어떤 부분에서 할인이 있는지 명확히 알기 힘든 측면이 있다. 특히 통신 서비스와 단말기가 묶이다 보니 고사양 단말기가 필요 없음에도 소비자들은 단말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통사 대리점 위주의 유통구조 탓에 소비자의 단말기 선택권이 부족한 상황이란 것이다.

정 사무총장은 “1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인식도 조사 결과, 이통사에서 공시지원금 할인이나 요금 할인으로 구매하는 것에 비해 자급제+알뜰폰 조합이 약 50만원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자급제폰 인지도와 구매 경험은 부족하지만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높은 만큼, 자급제폰 인지도 확대를 위한 홍보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종연 서울대 교수는 “소비자가 5G에 가입하는 이유는 5G가 제공하는 가치가 아니라 최신폰이 5G이기 때문이거나 보조금을 더 많이 주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단말기가 5G 서비스 수요를 견인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니즈가 아니라 시장의 제한된 선택 때문에 필요 이상의 비용을 내고 있다. 실질적 서비스 품질의 개선 및 서비스 다양화가 시급하다”며 “소비자 권익의 관점에서 단말기 고가화에 따른 소비자 수리권 논의가 필요하고, 자급제폰 활성화를 위한 거래 안정성 관련 정보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