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공사비 증액 내용 철저 검증 예고···2차 갈등 우려 커져
일반분양 계약률 영향 미칠 수도···공사비 검증 결과 4월 예정

둔촌주공 시공사업단이 14일 조합과의 갈등 봉합에 이르지 못하고 강동구청, 주택도시보증공사에 공사 중단을 예고하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 / 이미지=정승아 디자이너
둔촌주공 조합이 시공사업단이 요구한 손실 보상금액을 철저하게 검증하겠다고 나서면서 2차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 사진=시사저널e DB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둔촌주공(올림픽파크포레온)에서 조합·시공사업단 간 공사비 갈등이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조합이 시공사업단이 요구한 손실 보상금액 1조1400억원이 타당한지 따져보겠다고 나서면서다. 공사비 문제가 다시 불거질 경우 사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계약자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모양새다. 

2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조합은 지난해 12월 공사비 검증을 맡은 한국부동산원에 자료 제출을 위한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 시공사업단이 요구한 손실 보상금액 약 1조1400억원이 적절한지 내부적으로 자료를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취지다. 조합의 요청으로 한국부동산원의 검증 시작 시점도 오는 2월로 늦어지게 됐다. 결과는 4월쯤 나올 전망이다.

둔촌주공 공사비는 2020년 6월 증액된 3조2000억원에 공사 중단에 따른 손실 보상금액까지 합쳐 4조3400억원 수준으로 늘었다. 조합과 시공사업단은 지난해 8월 공사 중단에 따른 손실 보상금액 약 1조1400억원에 대해 한국부동산원의 검증을 받고 결과를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조합은 손실 보상금액에 공사 중단과 직접 관련이 없는 추가 공사 기간 연장과 자재비 인상 등까지 포함된 것으로 보고 인상분이 적절한지 따져본다는 계획이다.

조합이 다시 검증에 나선 건 추가 분담금을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서다. 현재 둔촌주공 조합원 1인당 부담해야 하는 추가 분담금은 1억원에서 1억5000만원 수준이다. 둔촌주공 원주민 등 경제적 능력이 없는 고령자의 경우 추가 분담금 때문에 입주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시공사업단 역시 고금리로 금융비용 부담이 늘어난 상황이라 양측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서는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의 검증 이후 조합이 공사비에 대해 문제 삼을 경우 또다시 갈등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둔촌주공에선 3조2000억원의 공사비 인상을 두고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해 공정률 52%에서 공사가 6개월 가까이 중단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양측은 서울시와 강동구청이 중재에 나선 이후에야 10월 17일 공사를 재개했다. 이후 12월에 일반분양에 나서는 등 사업이 정상화되는 듯했다.

일각에선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이 재발하면 앞으로 일반분양 계약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둔촌주공 일반공급과 특별공급을 통틀어 전체 계약률은 67%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공사비 문제로 공사가 중단되면 입주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지는 만큼 예비 당첨자의 고민이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만 시장에선 공사가 중단될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둔촌주공의 경우 지난해 공사가 중단되면서 조합과 시공사업단의 부담이 커진 상황이다”며 “손실을 더 이상 바라지 않을 것이고, 분양에 따른 계약자들도 존재하는 만큼 과거처럼 공사를 중단하긴 쉽지 않을 전망이다”고 말했다.

둔촌주공에선 최근 공사비 문제와 함께 최근 ‘깜깜이 계약률’ 논란까지 겹쳐 계약자들의 혼란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둔촌주공 조합은 지난 17일 정당계약을 마감한 이후 의무가 아니라며 계약률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예비 당첨자들 사이에선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덜컥 계약을 했다가 입주 전까지 미분양 물량이 대거 남아있다면 자산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건설사가 미분양 해소를 위해 잔여물량에 대해 할인분양에 들어가도 기존 계약자들이 감액된 분양가만큼 돈을 돌려달라고 할 수도 없다. 하지만 조합과 시공사업단은 무순위 청약이 종료되는 3월까지 계약률을 공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잡음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