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우리카드, 연말 희망퇴직 실시
카드업계 몸집 줄이기 ‘분주’···영업점 수 1년 새 30개↓
조달비용 증가로 수익성 악화일로···“고정비 감축 필요성 커져”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카드사들이 허리띠 졸라매기에 분주하다. 무이자 할부 등 고객 혜택 축소에 이어 일부 카드사들은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서는 모습이다.
27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이달 21일부터 23일까지 입사일 기준 10년 이상 근속자 중 1967~1969년생 직원들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희망퇴직 조건은 1967년생의 경우 월 평균 임금의 24개월치이며, 1968년생과 1969년생 이후 대상자는 월 평균 임금의 36개월치를 퇴직금으로 받는다.
퇴직금 외에도 자녀 학자금 지원도 희망퇴직 조건에 포함했다. 2010년 12월 말 이전 출생한 자녀를 둔 직원이라면 1인당 최대 28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퇴직자들의 전직 지원을 위한 자금도 지급한다. 1968년생의 경우 최대 3300만원까지 지급 받는다. 퇴직 인원은 확정되지 않았으며 1월 중 확정된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우리카드는 지난해와 올해 초에도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2021년 당시 희망퇴직 규모는 11명이었으며 올해 초에 실시한 희망퇴직에서는 12명이 짐을 쌌다.
현대카드도 11월 초 계열사인 현대커머셜과 함께 희망퇴직 접수를 진행했다. 희망퇴직 대상자는 근속연수 20년 이상 재직자이며 희망퇴직 조건은 최대 39개월치 임금 제공, 자녀학자금, 건강검진비 지원 등이다.
앞서 올해 초에도 주요 카드사들은 희망퇴직을 진행한 바 있다. 신한카드는 올해 1월에 근속 10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으며, 하나카드도 1월 중 희망퇴직 공고를 내고 1967년생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당시 희망퇴직 조건은 31~36개월치 임금 지급과 함께 자녀 학자금, 재취업 지원금 등도 포함됐다.
지난해 말에는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가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KB국민카드는 희망퇴직자에게 최대 36개월치 임금을 지급했으며 10여명의 인원이 퇴사했다. 롯데카드는 작년 12월 근속 10년차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근속 기간에 따라 32개월에서 최대 48개월의 기본급과 최대 2000만원의 학자급을 지급했다. 퇴직 인원은 국민카드와 마찬가지로 10여명 규모였다.
이처럼 주요 카드사들이 희망퇴직에 나서는 배경에는 인건비 감축을 통한 비용 절감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하반기 들어 카드업계는 수익성 방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서 여전채 금리가 급등했고 그 결과 카드사들의 자금 조달비용 부담이 커진 탓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신용등급 AA+ 3년물 여전채 발행금리는 5.573%로 집계됐다. 이는 연초(2.420%) 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인력을 줄이면서 영업점포 수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올해 9월 말 기준 7개 카드사의 국내 영업점 수는 171개로 전년 동기(201개) 대비 14.9%(30개) 감소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조달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가장 우선으로 할 수 있는 조치는 비용을 줄이는 것”이라며 “인건비나 임대료 등 고정비 지출을 줄일 유인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희망퇴직을 진행하거나 영업점을 줄여나가는 것도 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카드와 우리카드를 제외한 여타 카드사들은 희망퇴직 진행과 관련해 현재까지 논의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연초에 희망퇴직 신청 접수를 시작한 사례가 있었던 만큼 인사나 경영계획이 발표되는 1월 중 희망퇴직을 추진하는 다른 카드사가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