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60세 이상 인구 30%, 11월 기준 백신 미접종
봉쇄 위주 정책·자국 백신 품질에 대한 의심 등 요인

[시사저널e=김지원 기자]최근 코로나19 대유행과 함께 중국 정부가 백신 접종 확대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자국 백신 접종을 강조하면서, 공공의 건강 문제에 상업 논리를 적용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파이낸셜타임스는 “중국이 코로나19 사례와 사망자 수를 과소 보고하고 있다”라는 전문가 분석을 보도했다. 중국이 지난 9일 내놓은 공식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총 1만6363명이다. 지난달 기록한 최대 감염자 수의 절반 수준이다. 사망자는 없다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인 전염병 확산 속도 모델과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치를 비교하며 의문을 제기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한 11월 말 기준 4만 명 통계를 활용해 일반적인 전염병 모델에 대입한다면, 12월 현재 기준 확진자는 8만 명을 넘어서야 한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발표한 총확진자 수가 1만 명 대인 사실을 꼬집은 것이다. 

공식 발표와는 달리 변이가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 진단이다. 중국 정부 또한 최근 노년층 코로나19 백신 접종 강화 계획을 밝히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낮은 노인 예방 접종률, 코로나19 재확산세 등이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일반적인 전염병 확산세와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코로나19 확진자 수 통계치를 비교한 그래프./=파이낸셜타임스

중국의 노인 예방 접종률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11월 중국 60세 이상 인구의 30%인 8000만 여 명이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정부 공식 통계상 전체 국민 백신 접종률은 90%다. 하지만 젊은 층에서도 미접종자가 여전히 많으며, 접종률이 낮은 원인에는 백신 접종 강화가 아닌 봉쇄 위주의 정책 전개, 자국 의약품 생산 품질에 대한 의심 등이 있다고 미 NPR 뉴스는 보도했다. 

중국이 자국의 mRNA 백신을 고집하는 데 대한 지적도 잇따른다. 더힐뉴스는 “중국은 상업적 고려 때문에 모더나의 mRNA 백신 수입 관련 제안을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중국 정부는 외국 백신이 중국 내에서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이미 해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백신이라는 점을 볼 때 이는 핑계에 불과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국 내에서 해당 백신이 검증되지 않은 이유도, 정부의 허가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또 “수백만 명의 생명이 달린 문제에서 자국의 mRNA 백신 도입만을 고집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라며 “중국의 mRNA 백신 효과성이 기대보다 떨어진다면, 상황이 악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