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관계자, 전기차 리더스 포럼에서 하이브리드차 혜택 연장 가능성 밝혀
올해 7월 니치 아우어 포럼에서도 하이브리드차 혜택 연장 필요성 논의돼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2024년 이후에도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 사진=연합뉴스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2024년 이후에도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최근 하이브리드자동차가 현실적인 친환경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가운데, 세제혜택 등 정부의 지원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당분간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반등할지 기대를 모은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오는 2024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급격한 전기차 판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전기차 대중화가 이뤄지기까진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지난 24일 국회에서 열린 ‘2022 전기차 리더스 포럼’에서도 하이브리드차 혜택 연장에 대한 발언이 나왔다. 이날 포럼에서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030년까지도 내연기관차의 비중이 50%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가 무공해차(전기차·수소차)에만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면서 2025년부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중단될 것이란 예상에 무게가 실렸다. 현재 하이브리드차엔 개별소비세·교육세·부가가치세(최대 143만원), 취득세(최대 40만원)와 더불어 공영주차장 할인 혜택 등이 제공된다.

하이브리드차 혜택 연장 가능성은 이전에도 논의된 바 있다. 지난 7월 ‘니치 아우어 포럼’에서 현대차 김동욱 부사장은 하이브리드차 혜택 연장 필요성을 밝히고,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실제로 아직은 전기차가 대중화되기엔 비용 및 충전 등에서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많다. 아직까진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높은 편이며, 노후 아파트 및 빌라 등엔 충전기 설치가 어렵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나,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향후 2~3년 동안은 세제혜택 등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이후 상황은 예측하기 어렵다”며 “최근 시장이 급변하고 있어 5년 단위의 플랜을 짜기도 어려운 게 현실이다”고 전했다.

한편,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혜택이 이어질 시 국내 완성차 중에서는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르노코리아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르노코리아는 최근 XM3 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했다. 아울러 2024년엔 지리자동차와 협업해 하이브리드 신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