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QB 7700만원에서 8100만원으로, i4 7310만원에서 7730만원으로 인상
비슷한 인상 폭에도 EQB는 옵션 추가한 반면, i4는 오히려 일부 옵션 제외해
EQB는 가격 접근성 높인 모델 추가···i4는 6000만원대 기본 모델 판매 중지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최근 원자잿값 인상에 따라 자동차 판매가격이 올라가고 있는 가운데, 메르세데스-벤츠와 BMW의 엔트리 전기차 가격이 경쟁사 대비 큰 폭으로 인상되며 이목을 끌고 있다. 다만 옵션이 추가되며 가격이 인상된 EQB와 달리, i4는 일부 옵션까지 빠져 향후 경쟁력 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벤츠 및 BMW에 따르면 EQB와 i4 23년형 모델은 각각 400만원, 420만원 인상됐다. 지난 6월 출시된 EQB 300 4MATIC AMG 라인은 7700만원에서 8100만원으로 가격이 올랐으며, BMW i4 eDrive40 ‘프로’는 기존 7310만원에서 7730만원으로 가격이 올랐다. 

벤츠와 BMW가 각각 EQB와 i4의 판매가격을 약 400만원씩 인상했다.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벤츠와 BMW가 각각 EQB와 i4의 판매가격을 약 400만원씩 인상했다.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두 브랜드의 가격 인상 폭은 타 브랜드 대비 높은 편이다. 앞서 볼보는 지난 9월 C40 리차지와 XC40 리차지의 2023년형 모델을 출시했다. 당시 두 모델은 각각 92만원씩 인상되는 데 그쳤다. 폴스타는 지난 4월 업데이트 모델을 출시했는데 싱글모터 모델은 기존 가격을 유지했으며, 듀얼모터 모델만 200만원 인상됐다.

다만 벤츠와 BMW의 높은 가격 인상 폭에도 서로 다른 반응이 나오고 있다. EQB의 경우 400만원 가격 인상이 이뤄지며 앞좌석 메모리시트 옵션과 통합 서비스 패키지(ISP)가 추가됐지만, i4는 420만원 인상에도 오히려 서라운드뷰 옵션이 제외됐기 때문이다.

또 EQB는 기존 EQB 300 4MATIC AMG 라인과 디자인 특성이 다른 EQB 300 4MATIC 일렉트릭 아트 모델을 7600만원에 출시하며 가격 접근성을 확보했지만, BMW는 i4 eDrive40 ‘일반모델’ 판매를 중단하며 기본 판매가격을 높였다. 앞서 i4 eDrive40 일반모델은 6640만원에 판매되며 국내 소비자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현재는 i4 eDrive40 프로 모델만 예약을 받고 있다. 

i4 가격 인상 및 일반모델 제외와 관련해 BMW 코리아 관계자는 “전 세계적인 원자재 난이 영향을 미쳤다”며 “가격 및 판매 정책은 본사에서 정하는 것으로 자세한 사항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향후 벤츠 EQA 역시 비교적 큰 폭으로 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나, EQB와 마찬가지로 옵션이 추가되며 소비자 불만을 상쇄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EQA 2023년형 모델의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올해 인기를 끈 BMW의 전기차 판매가 내년엔 일부 감소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BMW는 현재 벤츠와 전기차 판매부문에서 1, 2위를 다투고 있다.

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10월 벤츠와 BMW는 각각 3478대, 3405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며 테슬라를 제외한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i4는 m50 모델을 제외하고 1390대가 판매됐다.

아울러 전기차 시대에 이르러 일정 부분 기술 평준화가 이뤄지며 경쟁력 있는 모델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폴스타의 폴스타2와 폴크스바겐의 ID.4는 보조금 100% 지급 조건에도 1회 충전으로 4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다만 최근의 가격 인상에도 현재까진 i4의 인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선 BMW 브랜드의 기존 위상과 i4 모델의 디자인 및 운동성능이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BMW 영업점 관계자는 “최근 가격인상과 예약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i4 구매 대기자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BMW는 예약금을 기존 2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인상했다. 예약금 인상에 대해 BMW 코리아 관계자는 “실구매자 위주로 예약 받기 위한 조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