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득영 실장 보건복지비서관 근무, 연쇄인사 전망···C주무관 문제 제기로 분위기 어수선

그래픽=시사저널e
그래픽=시사저널e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사실상 현재 공석인 보건복지부 기획조정실장에 하마평이 무성하다. 현재로선 복지부 출신 김헌주 질병관리청 차장이 앞서가는 가운데 다른 복지부 실장도 거론된다.   

12일 복지부와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공식 발령이 나지 않고 있는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실 보건복지비서관으로 고득영 복지부 기조실장이 근무하고 있다. 고 실장은 복지부 관료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지시를 내리는 등 사실상 비서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 실장이 대통령실 근무를 시작한 시점은 전임 박민수 비서관이 복지부 제2차관으로 공식 임명된 지난달 24일로 알려졌다. 관가 관계자는 “최근에는 이같은 사례가 줄었지만 과거에는 정부중앙부처 관료가 인사검증 없이 일단 대통령실에 출근, 업무를 수행한 후 나중에 정식으로 임명되는 경우가 있었다”라며 “일각에서는 복지부 기조실장과 함께 보건복지비서관이 공식 발령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있다”고 설명했다.   

고 실장은 복지부 요직을 섭렵한 엘리트 관료 출신이다. 1965년생인 그는 대전고와 서울대 사회복지학과(84학번)를 졸업했다. 아태경제사회이사회 파견과 의료자원정책과장, 보험정책과장, 대통령비서실 고용복지수석 보건복지비서관실 행정관, 한의약정책관, 보육정책관, 인구아동정책관, 복지정책관, 인구정책실장을 역임했다. 이처럼 실질적으로 공석인 복지부 기조실장은 현재 인사검증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파악된다. 하마평에 오른 인물은 김헌주 차장과 임인택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최종균 인구실장 등이다. 이중 기조실장에 유력한 후보는 김 차장이라는 게 복지부와 질병청 직원들 전언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질병청 2인자로 조직과 업무를 장악하며 백경란 청장을 보좌했지만 김 차장은 친정인 복지부 복귀를 원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실력과 능력을 갖췄고 다른 후보들이 실장 승진한 지 3개월 경과된 점 등을 감안하면 그의 발령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말했다. 김 차장은 복지부 차관 인사를 앞두고 2차관 하마평에도 오른 바 있다. 1968년생인 그는 서울대 법학과(86학번)와 행정고시 36회 출신이다. 복지부에서 생명윤리팀장과 사회서비스개발팀장, 전략조정팀장, 인사과장, 사회서비스정책관, 인구아동정책관, 노인정책관, 대변인, 보건의료정책관, 건강보험정책국장을 거쳤다. 특히 대변인과 보건의료정책관, 건보국장 등 3개 국장 요직을 순차적으로 역임한 것은 최근 수년간 현 이기일 제1차관과 김 차장 뿐이다. 

이같은 하마평이 예상대로 실현되면 질병청 차장에는 A실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한차례 질병관리본부(현 질병청)에 파견돼 긍정 평가를 받았던 A실장은 1965년생 나이와 행시 기수 등 공직 경력이 질병청 2인자에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이어 A실장 후임자로는 현재 복지부 본부에 근무하는 B국장이 최근 유력하게 부상하고 있다. A실장과 유사하게 공직 경력과 행시 기수 등이 종합적으로 감안됐다는 설명이다. B국장이 최근 밝은 얼굴로 업무에 임하고 있는 점도 이같은 하마평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B국장은 지난 8월 실국장 인사에서 좌천 발령을 받았다는 점 때문에 일부 논란이 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가 관계자는 “당시 복지부 인사권자는 현재와 동일한데 3개월 전 좌천 발령을 받은 고위직이 이번에는 실장 승진 유력 후보로 알려져 혼란스럽다”며 “최근 복지부 인트라넷 사이트 ‘유니모’에 C주무관이 ‘지친 우리부 직원들은 누가 위로해주나요’라는 글을 올리는 등 어수선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C주무관은 “코로나19 대응 장기화로 직원 사기가 떨어진 상황에서 인사발령이나 업무보고에서 직원에 대한 배려 없이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는 문제 제기를 유니모에 실명으로 올린 것으로 파악된다. 유니모 접근이 가능한 복지부 직원들은 역시 실명으로 공감과 지지를 표명했지만 결국 C주무관은 해당 글을 삭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 관계자는 “모 국장의 지하철 몰카 사건이 가라앉기도 전에 다시 C주무관 글이 대외적으로 알려져 ‘어수선하다’는 표현이 정확할 정도로 복지부 분위기가 좋지 않다”며 “장관 이하 복지부 고위직은 C주무관 사건을 단순히 MZ세대 지적이라고 평가절하하지 말고 대책을 세워야 하며 외부 유력자에게 인사로비하는 관료를 적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