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접종 독려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수직 낙하
남아도는 백신, 연말 추가 물량 도입···재고 처리 고민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수요가 크게 꺾이면서 남은 백신 처리가 관건이 됐다. 방역당국은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리고자 추가 접종을 독려하고 있지만, 젊은층을 포함한 고위험층 마저 백신을 외면하고 있다. 반복적인 접종으로 부작용을 우려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다.
남는 백신을 처리하는 방법은 폐기하거나, 해외에 공여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다만 현실 가능한 방안은 폐기뿐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는 코백스(글로벌 백신 분배 프로젝트)로 국내에 배정됐던 483만회분을 들여오지 않고 코백스에 공여했고, 이를 포함해 총 974만회분을 공여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백신 물량이 충분해지면서 공여할 국가를 찾긴 쉽지 않아지고 있다.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는 백신을 유통하고 보관할 인프라가 부족하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0시 기준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은 누적 826만회 분량이 폐기됐다. 폐기 백신의 99.4%(822만회분)는 유효기간·사용 가능 기간이 지났다는 이유로 버려졌다. 미개봉 백신은 유효기간, 이미 개봉된 백신은 사용가능 기간 내 사용해야 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연말까진 약 9300만회분의 백신이 추가로 들어온다.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은 1차 80%(전체 인구 대비)대에서 4차 10%대로 크게 꺾였는데, 공급만 넘쳐나는 꼴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7일 0시 기준 60세 이상 고위험군의 동절기 추가 접종 예약률과 접종률은 인구 대비 각각 10.9%, 8.3%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 국내에 들어온 코로나19 백신은 총 3892만회분이다. 지난달 24일 기준 코로나19 백신 재고 물량은 1986만회분이다. 이에 방역 당국은 폐기량을 줄이기 위해 계약된 기초 백신 물량을 오미크론 변이 2가 백신으로 바꿔 수입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2가 백신 접종률도 미미한 상황이다.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2가 백신을 활용하는 동절기 추가접종 예약자는 9만1851명이다. 누적 예약자는 165만여명으로 인구 대비 3.7%, 접종 대상자 대비 4.1%에 불과했다. 지난 7일 0시 기준 2가 백신 접종자는 120만여명으로 예약자보다 더 적었다.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3년간 백신 구매에 총 6조3770억원을 사용했다. 이에 일각에선 정부가 백신을 대량 구매하는 과정에서 수요에 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신 구매비용으로 정부는 무려 6조원 이상 지출했지만 국민의 절반이 코로나에 감염됐다. 또 백신 부작용을 호소하는 이들에겐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여, 원성이 빗발치기도 했다. 그런데 결과는 ‘백신 외면’과 ‘혈세 낭비’ 논란으로 이어지게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