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말 전업카드사 카드론 평균금리 13.22%···전월比 0.35%p↑
카드채 금리 5% 돌파에 카드론 금리 하락세 꺾여
“조달비용 부담 커져···카드론 금리 오름세 이어질 것”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계속된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그간 하락세를 나타냈던 카드론 금리가 지난달 들어 오름세로 전환했다. 카드채 금리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조달 여건이 악화되자 우대금리를 제공하며 금리 경쟁을 이어가기가 어려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카드론 평균금리는 13.22%로 전월(12.87%) 대비 0.35%포인트 상승했다. 카드론 평균금리가 13%대에 다시 진입한 것은 지난 3월 이후 처음이다.
기준금리는 올해 1월 0.25%포인트 인상으로 1.25%로 올라선 데 이어 이후 4월, 5월, 7월, 그리고 8월까지 네 차례 연속 인상되면서 2.5%에 도달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네 차례 연속으로 올린 건 사상 처음이다.
이처럼 올해 들어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됐음에도 카드론 금리는 지난 7월까지 하향 곡선을 그렸다. 7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평균금리는 ▲1월 13.66% ▲3월 13.26% ▲6월 12.92% ▲7월 12.87% 등으로 기준금리와 상반된 추이를 나타냈다.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를 이어오던 카드론 금리가 지난달 들어 오름세로 돌아선 배경에는 카드채 금리 급등이 자리 잡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카드채 ‘AA+’ 등급 3년물 금리는 5.060%를 기록하며 5%대로 올라섰다. 이는 지난 2010년 7월 20일(4.87%) 이후 12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2%대였던 카드채 금리는 지난 6월부터 본격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내며 연초 대비 2배로 뛰었다.
카드사들은 은행과 달리 수신 기능이 없기 때문에 카드론·현금서비스와 같은 대출 사업과 가맹점 대금 지급 등을 위한 운영자금 대부분을 회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한다. 때문에 카드채 금리가 오르면 카드사들의 자금 조달비용 부담은 늘어나게 된다.
카드론 금리가 하락세를 나타내던 기간에도 카드채 금리는 계속해서 올랐지만 이전까지는 카드사들이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둘러싼 인터넷전문은행과의 경쟁에서 금리 우위를 점하기 위해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등 금리 인하 경쟁을 벌이면서 카드론 금리 인상이 억제됐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여전채 금리가 5%를 넘어서는 등 조달 여건이 크게 악화되면서 카드론 금리 인하를 지속하기가 어려워졌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은 자금의 대부분을 카드채 발행으로 조달하는데 그중 3년 만기 카드채 비중이 크다”며 “과거에 미리 조달한 자금으로 카드론을 운영하기 때문에 그동안은 조달금리 영향이 덜해 카드론 금리를 낮출 여력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들어 카드채 금리가 눈에 띄게 오르면서 조달비용 부담이 이전보다 커진 상황이라 이전처럼 금리 인하를 지속하기 어려워졌다”며 “그동안 역주행했던 카드론 금리가 이제는 오름세를 나타내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