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 국내 긴급사용승인 추진···'조코바' 판권·생산 기술 이전
신풍, 개발 지연·법적 논란 '이중고'···'피라맥스' 연내 상용화 불투명
불법 리베이트·분식회계, 비자금 조성 혐의도···주주 피해 불가피

[시사저널e=염현아 기자]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선두기업들이 연내 상용화 목표를 두고 다소 엇갈린 상황에 놓였다. 일동제약은 일본 당국의 승인 지연으로 국내 허가를 추진하는 반면, 신풍제약은 임상 환자 모집 지연에 법적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상용화 동력이 약해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기업들이 위기 속에서 돌파구 마련에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일동제약은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공동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S-217622)'의 국내 허가를 위한 준비에 돌입했다. 당초 일본 조건부 허가를 통해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었지만, 일본 당국의 허가 결정이 보류되면서 국내 허가로 방향을 선회했다.

앞서 지난 16일 일동제약은 핑안시오노기와 조코바의 한국 판매권리 및 생산 기술 이전에 대한 1차 계약을 체결했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조코바 개발 및 상업권을 보유하고 있는 핑안시오노기는 시오노기 홍콩과 중국 핑안보험의 자회사가 2020년 설립한 합작사로, 향후 조코바의 중국 진출을 위해 설립됐다. 일동제약은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허가에 대한 교섭 권리를 확보해, 승인 취득 및 정부 협력을 독자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일동제약과 시오노기제약은 현재 조코바의 글로벌 3상 투약을 완료해 결과를 도출하고 있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이번 계약으로 코로나19 치료제(조코바)의 국내 사용에 대한 정부 교섭 등을 일동제약이 주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조코바의 개발 진행 상황에 따라 상용화 이후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추가 계약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선 이번 계약으로 일동제약이 치료제 생산을 맡게된 게 국내 긴급사용승인 심사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허가 시기를 앞당겨 연내 상용화도 가능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동·신풍제약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현황 /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반면 코로나19 치료제 '피라맥스'를 개발 중인 신풍제약은 임상 환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은 데 이어, 최근 법적 논란까지 일면서 상용화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신풍제약은 57억원 규모의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검찰 압수수색을 받았다. 2010년대부터 장기간 의약품 원료사와 허위로 거래하고 원료 단가를 부풀리는 방식 등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에서다. 

신풍제약의 도덕성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신풍제약 최대주주의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도)로 주가가 하루 만에 15% 폭락하면서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했다. 앞서 2011년에도 불법 리베이트와 분식회계 논란 등으로 주주들의 신뢰를 잃었다. 

신풍제약은 앞선 도덕적 해이로 함께 폭락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주력해왔다. 이에 주식 시장에서 '코로나19 테마주'로 주목받으며 2019년 6000원대에서 2020년 20만원대로 주가가 치솟기도 했다. 

그러나 국내 코로나19 환자 400명을 대상으로 3상을 진행 중이던 신풍제약은 올해 확산세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환자 모집에 난항을 겪었다. 당초 목표했던 올 상반기 국내 긴급사용승인 신청은 불가능해졌고, 이후 우세종으로 떠오른 BA.5 등 오미크론 변이 효능 검증을 위한 추가 임상에 돌입했다. BA.5 환자를 임상 대상자에 포함하면서, 이번 추가 임상의 결과 도출 시기 또한 미뤄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