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의 지나친 이자이익 추구로 부정적 여론 커
억대 연봉 받는 귀족 노조의 쟁의행위 놓고 집단 이기주의 지적
근무시간 단축·임금 상승 요구 등 자기 잇속만 챙기는 행태 비판
명분 없는 총파업으로 전체 은행 직원들까지 피해 입고 있어···횡령 사건 등 잇따른 금융사고 발생도 총파업 부담 요소로 작용

지난 15일 금융노조들이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9·16 총파업 승리'라고 쓰인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지난 14일 금융노조 관계자들이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 앞에서 금융공공성 사수를 위한 금융노조 9·16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오는 16일 예정된 금융노조 총파업에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불참을 결정하면서 추진 동력이 약해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고객들은 금리 급등의 고통을 겪는데 억대 연봉을 받는 귀족 노조의 파업을 놓고 여론이 싸늘한 만큼 실제 파업에 참여하는 은행 직원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번 파업이 민심에서 외면받았다는 비판과 함께 그럼에도 강행 시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노조들은 오는 16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총파업 집회를 개최한 뒤 용산 대통령 집무실까지 행진할 계획이다. 각 은행들은 파업 참여로 인한 일시적인 영업점 인력 공백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시장에서는 금융사의 지나친 이자이익 추구로 부정적 여론이 커진 상황에서 평균 1억원의 연봉을 받는 금융노조의 쟁의행위가 집단 이기주의로 비춰질 수 있다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 불편은 외면하면서 근무시간 단축과 임금 상승을 요구하는 자기 잇속만 챙기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명분 없는 총파업으로 인해 오히려 전체 은행 직원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요구 사항을 떠나 최근 횡령 사건, 외화 송금 이상 거래 등 잇따른 각종 금융사고 발생 또한 총파업 부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내부에서도 총파업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 앞서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은 금융노조 총파업에 사실상 불참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우리은행은 노조 간부 등 100여명만이 금융노조 총파업에 참여하고 다른 대부분 직원은 정상 근무를 하기로 했다. 농협은행도 노조 간부 100여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직원이 정상 근무하겠다고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은행 모두 전체 노조원이 각 1만여 명인 것을 감안하면 총파업 참가율은 약 1% 수준에 그친다.

금융노조 대형 사업장이라고 할 수 있는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이 파업에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금융노조 총파업 동력 확보에도 차질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노조 중 가장 규모가 큰 KB국민은행 노조는 전국 856개 영업점 분회장을 중심으로 파업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실제 파업 참가자 수는 수백 명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금융노조는 2016년 9월에도 총파업을 단행한 바 있다. 당시에도 시중은행 참가 인원은 1만800여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15%에 그쳤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파업 참가율은 2.8%에 불과했다. 

15일부터 시행되는 서민 안심전환대출 등에 적지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명분 없는 파업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은 차갑다. 민심과 업계 모두에게서 완전히 외면받았다는 평가다. 

지난 14일 금융노조는 서울 명동 은행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융자본의 무분별한 점포 폐쇄와 인력 감축을 중단시키고 관치금융 부활 저지, 국책은행 지방 이전 정책 폐기 등을 통해 금융의 공공성을 사수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노조는 이번 총파업에 대한 쓴소리를 의식한 듯 기자회견 내내 '금융 공공성 확보'를 총파업 단행의 이유로 내세웠다. 기자회견 내내 파업의 당위성을 설명했지만 정작 내부에서조차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이번 총파업으로 애꿎은 금융소비자만 피해를 볼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대면 채널을 구축해 놓아도 대면 채널이 익숙한 금융 소외 계층은 영업점으로 몰릴 수밖에 없는데 안심전환대출 신청까지 받으면 대기 시간은 길어지고 결국 혼란이 생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노조의 파업 가결 이후 지금까지 금융노조와 사측은 주요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임금 6.1% 인상 ▲주 36시간(4.5일제) 근로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금융노조는 인금인상률 요구안을 당초 6.1%에서 한국은행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5.2%로 낮춰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36시간제 요구의 경우 임금 삭감 없는 주 4.5일 근무를 한정된 직군에 한해 1년간 시범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총파업에 들어가기 전 막판 협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잇따른 직원 횡령 사고와 이상 외환거래, 1000억원대 성과급 잔치 등으로 금융노조 총파업에 대한 세간의 시선은 곱지 않다"며 "일부 은행과 상당수의 직원들이 총파업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선언해 총파업의 명분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