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경쟁률 1:1 미만 미달사업장 증가···공사비·땅값 마련 부담 커져
‘주택’에서 눈 돌려 건설업과 별개인 신사업 검토 증가

수도권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 주택경기 경착륙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중견건설사의 지방 사업장은 미분양이 급증하며 생존활로를 찾기 위한 움직임도 활발해지는 모습이다. / 사진=연합뉴스
수도권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 주택경기 경착륙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중견건설사의 지방 사업장은 미분양이 급증하며 생존활로를 찾기 위한 움직임도 활발해지는 모습이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청약시장의 위축으로 중견건설사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성공적인 완판을 통해 공사비와 땅값을 마련하고 수익도 창출해야 하지만 미분양으로 고전하고 있어서다. 일부 대형 시행업체나 시공사는 후분양으로 돌려 분양시장의 냉각기를 피해갈 수 있지만 중견업체는 초기부담금이 커 이마저도 쉽지 않은 처지다. 때문에 주택만으로는 외형 확장이 어려운 중견건설사들의 사업 다각화 모색 행보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M동아건설산업은 이달 초 경북 칠곡군 석정읍에 우방아이유쉘 유라밸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결과 평균경쟁률 0.08대 1의 결과를 받아들었다. 일반공급 물량이 총 305세대였는데 청약신청자가 26명에 그친 것이다.

같은시기 극동건설은 남양주 마석에서 극동스타클래스 더퍼스트 청약접수를 받았는데 이곳 역시 138가구 모집에 55명만 청약을 신청해 0.5대 1로 마무리됐다. 지난 수년 간 청약만 했다하면 완판 됐던 분위기와는 달리 청약시장의 옥석가리기가 시작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체 개발을 하는 시행사나 건설사는 분양을 통해 마련한 금액으로 사업부지에 묶여있는 땅값과 공사비를 충당한다. 분양률이 70%는 돼야 초기 공사비를 댈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그러나 중견건설사들이 근래에 지방에서 분양한 상당수 사업장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특히 청약경쟁률 보다 계약율은 낮아 주인을 못 찾은 세대가 늘기도 한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청약결과 미달됐다고 하면 청약신청자는 재당첨 제한 등의 부담을 안고도 계약을 안하는 경우가 있다”며 “실제 계약율은 청약율보다 낮은 경우가 허다하다 보니 사업 밑천을 위한 신사업 검토 등 포트폴리오를 새로짜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 같은 까닭에 주택 외 새로운 생존 활로를 찾는 중견건설사도 부쩍 늘었다. 중견건설사 대우산업개발은 주거 브랜드 이안을 갖고 있지만 올해 미국의 고급 수제버거 브랜드인 굿 스터프 이터리를 들여왔다. 2025년까지 7개의 매장을 오픈해 자사의 스마트 팜과 결합된 새로운 푸드 콘텐츠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한신공영 역시 올해 정관을 변경해 사업목적에 자동차 운전교습 사업을 추가했고, 신세계건설수족관 운영관리업, 공연장·전시장 운영관리업 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했다.

이밖에도 주택시장 침체에도 버텨낼 수 있는 체력을 길러내는 차원에서 물류센터나 업무시설 사업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분위기도 확산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주력은 건설업이지만 공사비 상승에 미분양 확대 등 불확실성이 커지다보니 안정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신사업을 추가하거나, 대형사와의 컨소시엄 참여 등으로 매출 다각화를 노리는 경우가 늘었다”며 “당분간 이같은 분위기는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