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동중국해 고수온대 지나며 ‘초강력’ 태풍 발달
6일 오전 부산 부근 상륙···가장 강한 상륙 태풍 '전망'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본격 북상하면서 세력을 더욱 키우고 있다. 5일 제주 부근 해상을 지나 6일 오전 부산 인근에 상륙해 강한 바람과 폭우를 뿌릴 전망이다. 한반도 상륙 시점 기준 역대 가장 강한 태풍이 될 것으로 예상돼 큰 피해가 우려된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힌남노는 이날 오후 3시 현재 대만 타이베이 북동쪽 약 39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26km로 북북동진하고 있다. 중심기압 935헥토파스칼, 최대풍속 49m/s로 ‘매우강’ 강도를 보이고 있다. 앞서 힌남노는 최근 이틀여간 오키나와 인근 해상에서 태풍 구조가 다소 와해되는 등 약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날들어 본격 북상을 시작하면서 세력이 다시 커지고 있다.
힌남노 북쪽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축소되면서 힌남노가 가는 길을 열어주고 있고, 힌남노 경로에 있는 바다의 수온도 태풍 발달에 필요한 수온보다 높은 상황이다. 태풍 남쪽에선 인도양과 남중국해에서 수증기가 공급돼 힌남노가 세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예상 경로상 우리나라 부근까지 태풍 성장을 막는 대기 상층 제트기류는 약하고, 대기 상하층 풍속차도 작다. 사실상 태풍 성장을 방해할 요소가 없는 셈이다.
이에 따라 힌남노는 동중국해를 지나는 5일 오전 3시엔 중심기압 920헥토파스칼, 최대풍속은 54m/s의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강력’은 태풍 강도 중 최고 등급이다. 이후엔 세기가 다소 약해지며 6일 오전 3시 서귀포 동북동쪽 50km 부근 해상을 지나 오전 9시쯤 부산 인근에 상륙, 북동진하며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이 때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950헥토파스칼과 43m/s로 예상했다. 전망대로라면 국내에 상륙한 태풍 중 가장 강한 수준이다.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강한데 기존 한반도에 상륙한 가장 강한 태풍인 사라(1959년)는 951헥토파스칼, 매미(2003년)는 954헥토 파스칼이었다.
힌남노가 우리나라에 접근하면서 정부도 비상 대비체제에 돌입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힌남노 대비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태풍과 같이 진로가 예측 가능한 기상 상황의 경우 선제적 대처가 중요하다. 공직자들은 선조치, 후보고를 해달라”며 “즉각적인 피해 복구책과 더불어 인명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