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7월 정점통과, 3분기 경기 하강국면 돌입 분석 제기
현대硏 “정책 방향 물가안정서 경기침체 방어 전환해야”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우리 경제가 내수와 수출이 모두 부진에 빠지는 복합 불황에 빠질 가능성이 있어 정부 정책 목표를 물가 안정에서 경기침체 방어로 전환해야 한다는 민간 경제 연구기관 진단이 나왔다.
4일 현대경제연구원은 ‘물가 정점 통과와 다가오는 경기 침체’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월에 정점을 통과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월(3.7%)부터 지난 7월(6.3%)까지 6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 대비 상승폭을 키우다 지난달엔 5.7%로 7개월 만에 오름세가 꺾였다. 보고서는 또 3분기 들어 가계 소비 심리가 악화하고 설비 투자가 침체하는 등 경기가 하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봤다.
세계 경제가 팬데믹 지속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침체 국면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출 경기 하강 우려가 커졌단 지적도 제기했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 3.2%에서 내년 2.9%로, 국제 교역 증가율은 올해 4.1%에서 내년 3.2%로 각각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연구원은 “세계 경제와 국제 교역이 침체 국면에 빠지게 되면, 한국의 수출 경기 하강은 불가피하다”며 “아직은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하며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으나, 수출단가 요인이 약화하는 하반기 이후에는 내수와 수출이 모두 침체하는 복합불황이 우려된다”고 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며 수입 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해 내수 침체를 유발할 수 있는 점도 위험 요인으로 들었다. 고금리·고물가 상황에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약화돼 소비 침체가 계속되는 부분도 우려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올해 1월 105.33포인트에서 8월에 110.35포인트로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에 민감한 품목들로 구성돼 있다.
연구원은 “명목 소비는 증가하는데, 실질 소비는 감소하는 스티커쇼크(소비자가 예상보다 높은 제품가격표를 보고 받는 충격)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며 “고금리·고물가도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소비 부진이 심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연구원은 또 “경제정책의 최우선 목표를 기존 물가 안정에서 경기 침체 방어로 점차 이동시켜야 한다”며 “정부가 복합적인 대외 충격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경제 내 취약부문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