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수도권 아파트값, 3년 만에 하락세 전환
GTX 기대감도 무용지물···근처 지역 아파트 급락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값이 내림세로 전환되면서 하락폭 또한 커지고 있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값은 3년 1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 2019년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35개월간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지난 6월(-0.04%) 3년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에는 0.12% 떨어져 전달 대비 하락폭이 3배로 커졌다. 지난 2019년 6월(-0.1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셈이다.

지난해 수도권 아파트값의 연간 상승률은 25.42%에 달했다. 지난해 2월(2.32%), 3월(2.38%), 6월(2.42%), 8월(2.50%), 9월(2.43%)에는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2% 중반에 달할 정도로 가팔랐다. 특히 서울(16.40%)은 지난 2006년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고, 경기(29.33%)와 인천(32.93%)은 각각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1986년 이래 역대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 11월 전까지만 하더라도 기준금리는 연 0%대로 초저금리가 유지됐다. 또 집값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불안을 느낀 무주택자들이 대출을 받아 경기·인천 지역의 집을 사는 소위 ‘영끌’로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젊은 수요자들이 크게 늘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정차 지역 발표에 따른 교통개발 호재도 집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면서 올해는 상황이 완전히 반전됐다는 분석이다. 서울은 상승세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지난달(0.03%) 상승 폭이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축소되면서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경기와 인천의 아파트값은 지난달 각각 0.15%, 0.38% 떨어져 전달의 0.05%, 0.43% 하락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빠졌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올해 1∼7월 서울시는 성북구(-0.30%), 인천시는 연수구(-0.50%)·남동구(-0.12%)·서구(-0.18%)의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경기도는 같은 기간 안양시 동안구(-2.27%), 수원시 영통구(-2.26%), 화성시(-2.20%), 의왕시(-1.28%), 광명시(-1.14%), 수원시 권선구(-1.07%) 등의 아파트값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서울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 근처 아파트 단지는 지난해 인덕원역이 GTX C노선 정차역에 포함됐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가격이 급등했지만, 올해는 정반대의 상황을 맞았다.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인덕원대우 전용면적 84.96㎡의 경우 지난달 9일 7억4500만원(2층)에 중개 매매돼 전달 7억8000만원(1층)에 팔린 것보다도 3500만원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8월 같은 면적 9억5000만원(2층)에 매매된 것과 비교하면 1년도 안 돼 2억원 넘게 급락한 금액이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출금을 최대로 받기 위해서는 상당한 소득이 뒷받침 돼야 하는데 매입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제한 적일 것”이라며 “기준 금리 인상 여파로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지되, 중저가 규모의 주택 거래는 지속될 수 있어 급락 수준은 아닐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