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서방에 대한 보복차원으로 가스공급량 즐여
사태 장기화 시 악재에도 선방하던 유로존 경제 악영향 우려

유로화. / 사진=연합뉴스
유로화.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독일 가구들이 연간 최대 1000유로(약 132만 원)의 가스요금 폭탄을 떠안게 됐다.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에 대한 보복 차원으로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을 차단했기 때문인데 향후 유로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러시아는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 공급을 줄여왔다.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장비 점검을 이유로 11일부터 열흘간 노르드 스트림1을 통한 유럽행 천연가스 공급을 끊었다가 21일 평소 공급량의 40% 수준으로 재개했다. 이후 27일에는 다시 그 절반 수준인 20%로 가스공급을 줄였다.

이는 러시아산 천연가스 최대 수요국인 독일에 직격탄이 됐다. 러시아의 가스공급 중단으로 독일 정부는 가정 및 기업들에 가스요금 추가 부과 방안을 담은 법안을 공개했다. 2024년 9월까지 추가 요금을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독일 정부는 현재 67.2% 수준인 천연가스 비축률을 오는 11월까지 95%로 올릴 수 있도록 각 가정과 기업이 에너지 절약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독일정부의 조치에 위기에 빠졌던 일부 독일 에너지 기업은 오히려 안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정부로부터 150억 유로(약 20조 원) 규모의 긴급구제금융을 받기로 하는 등 파산 위기에 처한 독일 최대 에너지기업 유니퍼는 가스 가격 인상으로 숨통이 트였다.

러시아의 가스 공급 감축 조치로 유로존 경제침체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현재 유로존 경제는 우크라이나 전쟁에도 불구하고 선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럽연합(EU)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는 29일(현지시간) 유로존 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예비치)이 전 분기대비 0.7% 증가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2분기 두 달 연속 GDP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과 대비된다.

코로나19 방역 해제로 경기가 살아난 것이 한몫했다는 평가다. 유로존의 기대 이상의 성장률이 글로벌 경제 위축을 어느 정도 방어하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러시아가 서방에 대한 보복차원으로 천연가스 공급을 계속 줄여간다면 하반기부터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너지 사용량을 제한하기 위한 배급제 없이는 올겨울을 버티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EU 회원국들은 일부 예외를 두되 러시아의 가스 수요를 15% 감축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