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 “서울 마지막까지 버틸 것···수도권, 1·2기 신도시별 편차 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이 8일 시사저널e 주최로 열린 ‘2022 웰스업 투자 세미나’에서 ‘저금리 시대 종말, 부동산 투자 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 사진=김지윤 PD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과거 부동산 흐름을 보면 '3년 조정, 7년 상승'이라는 사이클이 있었다. 지금은 8~9년 동안 상승세가 이어졌기 때문에 피로감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금리 인상과 겹쳐 집값 조정기에 접어들 수 있다. 서울은 3년, 지방은 5~6년 조정이 예상된다. 30%에서 최대 50%까지 빠질 것으로 본다.”

8일 시사저널e 주최로 열린 ‘2022 웰스업 투자 세미나’에서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저금리 시대 종말, 부동산 투자 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치며 이 같이 말했다. 과도한 집값 상승에 대한 피로감과 금리 인상에 따라 조정장이 올 것으로 봤다. 서울 아파트값의 경우 올해와 내년 약세를 보이다가 2025년 이후 하락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집값 조정이 올 수 있는 요인으로 금리 인상 여파를 꼽았다. 김 소장은 “집값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집값 반등은 저금리 상태에서 이뤄졌다”며 “저금리와 유동성이 상승의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말까지 기준 금리가 3%까지 오르게 되면 시중 은행 대충 금리도 5~6%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금보다 이자부담이 1% 정도 늘어나고, 2~3년 전에 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변동금리 기준 이자 부담이 2배 가량 증가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김 소장은 조정장에 들어설 경우 집값의 바닥 특성을 파악해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바닥을 향할 경우 양도세 특례 등 파격적인 규제완화 대책이 나와도 집값이 하락한다. 아울러 미분양이 증가하고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등장하게 된다. 하락 전환 이후엔 3년 정도 계단식 하락이 이뤄지고 5년 내 가장 낮은 시세로 떨어진다. 김 소장은 “5년 간 양도세 면제 혜택 정도가 나온다면 규제 완화는 모두 나온 것이기 때문에 투자 타이밍이라고 볼 수 있다”며 ”다만 지금은 실수요자 위주로 규제를 풀고 있기 때문에 모두 풀린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조정기에 들어설 경우 서울은 강남과 한강변 지역이 가장 마지막까지 버틸 것으로 봤다. 김 소장은 “노무현 정부에 아파트 가격이 꺾였는데 송도와 동탄 등 수도권 외각 지역이 먼저 타격을 입었고, 서울은 2012년에 조정기를 맞이했다”며 “이번에도 수도권이 먼저 꺾인 이후 3년이 지나면 서울도 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한강변 등 정책 수혜지역은 조정을 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와 인천은 5~6년 정도 조정이 예상되지만 지역별로 편차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김 소장은 ”1기 신도시는 정부가 재건축을 위한 특별법을 준비하고 있는 등 규제 완화 기대감에 조정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조정폭이 클 경우엔 매수 타이밍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2기 신도시는 입지가 밀리고 재건축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조정이 와도 반등은 쉽지 않을 것이다”며 “2020년 뒤늦게 올랐던 인천·오산·안성·동두천 등과 지방도 비슷한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소장은 조정장에 따른 유형별 매수 전략도 소개했다. 그는 “실수요자는 조정기 이후 집값이 다시 반등하는 특성이 있는 만큼 필요하다면 내 집 마련에 나서도 된다”고 말했다. 이어 “1주택자는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3~5년 이후 매수 타이밍을 노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주택자의 경우 정부가 임대사업자제도 등을 활성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정책을 잘 활용해서 버티다가 조정기가 끝나는 시기에 투자에 나서도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