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21.3% 늘어난 615억 달러···5월 기준으론 사상 최대치
수입은 32.0% 증가한 632억 달러···에너지 가격 상승 영향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5월 수출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에너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 5월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같은달 대비 21.3% 증가한 615.2억달러, 수입은 32.0% 늘은 632.2억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17.1억 달러 적자였다.
수출액은 역대 5월 최고 실적이다. 기존 최고치인 지난해 5월(507억 달러) 기록을 100억달러 이상 상회했다. 역대 월 기준으로는 올해 3월(638억 달러)에 이은 2위이다.
고물가와 공급망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과 전년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수출은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으며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지속했다.
지난해 8월 이후 9개월 만에 15대 주요 품목이 모드 플러스 성장한 가운데 반도체와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등은 역대 5월 1위를 달성했다. 전년 동월 대비 석유제품 107.2%, 철강 26.9%, 바이오 24.6%, 반도체 15.0%, 석유화학 14.0% 각각 증가했다.
산업부는 “석유제품은 고유가 영향으로 높은 수준의 경제 마진과 그에 따른 높은 가동률이 이어지고 있고 철강은 중국 지역봉쇄 등에 따른 생산 둔화에도 견조하게 유지되는 글로벌 수요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단가 강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오는 선진 시장 내 안정적 점유율을 보이는 바이오시밀러 등을 중심으로 의약품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반도체는 23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13개월 연속 100억달러의 호조세를 바탕으로 역대 5월 중 1위 실적을 기록하며 5월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아세안과 미국, 유럽연합, 인도 수출이 역대 5월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4월 역성장을 기록한 중국 수출도 플러스 전환했다. 수출 증가율은 인도 70.3%, 미국 29.2%, EU 23.5%, 아세안 23.0%, 중국 1.2% 였다. 다만, 전쟁이 이어지고 있는 러시아(-59.4%)와 우크라이나(-80.7) 수출은 감소했다.
지난달 수입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지속되면서 3개월 연속 600억 달러를 상회했다. 지난해 6월 이후 12개월 연속 수출증가율을 상회하는 수입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원유와 가스 등 에너지 수입액은 전년 같은달보다 67.5억 달러 증가한 147.5억 달러를 기록, 수입 증가세를 주도하며 적자 발생에 영향을 줬다.
최근 무역적자는 우리와 같이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높은 일본,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도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주요 교역대상국 성장률 둔화에 더해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수출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도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이어나갔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최근 배럴당 100달러 이상의 고유가를 비롯한 높은수준의 에너지, 원자재 가격이 이어지면서 무역적자가 2개월 연속 발생하는 등 적자 지속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경제의 주된 성장엔진인 무역이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우리 기업이 직면한 금융, 물류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기반한 업종별 특화 지원 등 수출지원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