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물가상승에 따라 기준금리 0.5% 올리는 ‘빅스텝’ 검토 중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 국내 GDP, 단기금리, 원/달러 환율에 영향
“국내 물가 안정 위해선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 필요”
[시사저널e=유주엽기자] 미국이 최근 지속되는 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향후 국내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 코스피는 지난주 대비 39.46포인트(1.44%) 내린 2700.39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에 따라 국내 경제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섰기 때문이다.
미국 중앙은행에 해당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6일 기준금리를 한번에 0.5% 올리는 ‘빅스텝’ 방안을 공개했다. 연준은 앞서 미국의 연간 물가 상승률을 4.3% 수준으로 전망하며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밝혔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현실화 되면 향후 국내 시장에도 여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BK경제연구소는 연준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7차례 올리면 내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0.77%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단기금리는 0.14%포인트, 원/달러 환율은 0.76%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고민 또한 깊어지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내 물가 역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서민 부담을 줄이는 것이 급선무인데, 미국의 금리인상 움직임에 따라 국내 경제에 악영향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1%에서 3.0%로 하향조정하고, 연간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1.9%에서 3.2%로 상향조정했다.
전문가들은 물가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50조원 추가편성 계획과 관련해선 물가상승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차를 두고 분산 편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물가가 안정되지 않으면 경제의 안정적인 운용이 어렵다”며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시중 유동성 회수가 중요한 만큼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