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기존 원전에 신한울 3·4기도 재건설···원전 비중 30%대로
원자력 발전 경제성·안정성 장점으로 꼽혀···수소생산 다양성 확보도
일각선 “SMR 건설 어려울 것” 우려도 제기
[시사저널e=서지민 기자]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의 ‘원전 강화’ 공약이 수소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을 받고 있다. 발전 단가가 싼 원자력으로 수소를 생산하면 수소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원전과 사회적 갈등이나 추가 건설의 어려움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지난 10일 20대 대통령으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면서 ‘탈원전 백지화’ 공약에 산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 당선인은 10대 주요 정책·공약 중 하나로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과 원전 최강국 건설’을 제시했다. 원전 가동률을 높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속도조절을 하겠다는 공약이다.
구체적으로 기존 가동원전은 계속 운영하고 새로 2기의 원전을 건설한다. 현재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은 총 24기다. 이중 10기는 2030년까지 차례대로 운영을 만료할 예정이었으나 윤 당선인은 해당 원전들의 수명 연장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여기에 문재인 정부에서 건설이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하기로 했다. 원전 개수와 가동률을 높여 원전 발전 비중을 30%대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문재인 정부 당시 원자력 발전 비중은 23.4%~29%를 유지했다.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및 원자력 기반 수소기술 개발도 공약으로 내놨다. 기존의 원전은 중앙 집중형으로 한 지역에서 대규모 발전을 통해 이외 지역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라면, SMR은 소규모 형태로 전력이 필요한 곳에 분산해 지을 수 있다. 공약은 SMR 옆에 수전해(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설비를 설치해 청정수소 생산을 하겠다는 구상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의 원전 강화 공약에 수소업계는 수소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로 청정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원자력 역시 탄소배출량이 거의 없어 청정수소 생산이 가능한 전원이기 때문이다. 청정수소는 수전해 기술로 만들어 내는데, 이때 쓰이는 전력 역시 생산 단계에서 탄소배출이 없어야 한다.
윤창현 국민의힘 정책본부 부본부장(국민의힘 의원)은 “원자력 발전을 통해 값싼 에너지를 확보해야 양질의 수소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수소 활성화에 원전의 역할이 클 것”이라고 전했다.
◇ “원자력 수소의 경제성·안정성 큰 장점”···“주민들 원전 수용할지에 대한 문제 있어”
윤 당선인의 원자력 강화 공약에 대해 수소업계는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원전의 경제성과 발전의 안정성이 국내 수소생산에 있어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원자력 수소의 가장 큰 장점은 경제성이다.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에 비해 원자력 발전 단가가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수소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원전은 1년 365일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꾸준한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의 수소경제 이행계획에서 재생에너지만으로 국내 수소 수요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단 평가가 있었다. 원자력이 들어오게 되면 경제성이 있는 방향으로 국내 수소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수소생산 방법의 확장성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조성경 명지대학교 교수는 “지금까지는 재생에너지로만 생산하는 수소에 집중해 왔다. 여기에 원자력 수소라는 새로운 옵션이 생겼다”며 “기존의 기술뿐 아니라 수소생산이 새로운 기술과 연계되면서 새로운 것들이 많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다. 예를 들어 수소 생산용 원자로 개발 등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한편에선 원자력 발전 자체에 대한 사회적 갈등 우려도 제기됐다. 조 교수는 “진짜 원전과 수소산업이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원전은 발전의 역할로만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원전이 주인공이 되면 또 다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수소경제든, 탄소중립이든 원전은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수소기업 관계자도 “원전은 주민들이 얼마나 수용하느냐의 문제도 있다. SMR을 국내에 새로 짓겠다는 건데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SMR 건설 자체가 안 되면 연계한 수소생산 공약도 공허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