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신규 확진자 21만716명 집계···위중증 환자 955명, 사망자 139명
감염병 전문가 “감염 기회 늘고 국민 경각심도 해이”···“대선 후도 변화 쉽지 않아”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향후 코로나19 확산의 정점이 불투명한 가운데 정부가 최근 방역조치를 완화하고 있다. 이에 감염병 전문가들은 우려하며 정점을 찍은 후 하락 상황에서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21만716명 늘어 누적 466만6977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는 일주일 전인 지난달 28일(13만9624명)의 1.5배, 2주 전인 지난달 21일(9만5358명)과 비교해 2.2배 수준이다. 이같은 확진자 증가세로 인해 위중증 환자 수도 급증하는 추세다. 이날 집계된 재원 중 위중증 환자는 전날(885명)보다 70명 증가한 955명이다. 지난달 23일 500명대로 올라선 위중증 환자 수는 12일 만에 배 가까이 증가하며 1000명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방역당국과 국내 연구기관은 위중증 환자 수가 이달 중 1700명에서 최대 275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사망자도 연일 세 자리 수를 기록하고 있다. 전날 사망자는 139명이다. 직전일(161명)보다는 22명 적다. 누적 사망자는 9096명이다. 누적 치명률은 0.19%다. 사망자를 연령별로 보면 80세 이상이 87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70대 28명, 60대 10명, 50대 8명, 40대 3명 등이다. 청년층에서도 30대 2명, 20대 1명이 사망했다. 이같은 상황에도 정부는 최근 방역조치를 완화하고 있다. 지난 1일 식당과 카페 등 11종 다중이용시설에서 방역패스를 중단한 데 이어 6일부터는 12종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오후 10시에서 11시로 연장한 바 있다. 이같은 조치에 감염병 전문가들은 우려하는 모습이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현재 코로나 진료를 하는 의사는 물론 간호사까지 감염되는 상황”이라며 “코로나 바이러스가 여기저기 다 퍼져있다고 이해하면 된다”고 정리했다. 천 교수는 “정부의 방역조치 완화는 실질적으로 자영업자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국민들 사이에서 불안감만 조성시킨다”며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부는 코로나 확산이 정점을 찍은 후 하락하는 상황에서 방역조치 완화를 시행해야 한다”며 “이번 주나 다음 주에는 코로나가 지속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천 교수는 “정부는 고열의 코로나 환자가 병원에 가서 수액을 맞는 것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며 “의사가 책임감을 갖고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환경부터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 확산세가 강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정부는 마음을 굳게 먹고 갈 길을 가고 있는 느낌”이라며 “정부는 방역조치 완화를 주장하는 일부 전문가 의견만 수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향후 2-3주가 경과되면 중환자 병상의 80%가 차게 된다”며 “종합병원급 중환자 병상은 거의 찼고 준종병 이하 의료기관 병상만 남아있는데 이렇게 중환자 치료가 진행될 경우 코로나 사망자가 갑자기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정부는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밤 10시에서 11시로 늦출 경우 확진자가 10%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며 “하지만 개인적으로 판단하면 10%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 교수는 “오는 9일 차기 대통령 당선자가 확정돼도 공식 취임 전까지는 방역조치가 크게 변경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두 달 동안 정부가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번 주 코로나 확산 커브가 완만하게 진행되고 신규 확진자가 30만명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다음 주에는 확산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번 주 확산세가 강하게 진행되고 30만명을 넘으면 정점은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그동안 정부 방역정책이 비상식적이었다면 최근 정책은 비이성적”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식당 영업시간을 10시에서 11시로 연장, 식사에 이은 2차를 갈 수 있게 했지만 더 많은 코로나 감염 기회가 생겼고 국민 경각심이 해이해진 결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연장은 자영업자 피해를 감안한 것이지만 반대로 방역비용과 의료비용 증가, 경제적 피해, 인명피해 등이 크다”며 “이같은 상황은 대선 이후에도 변화 가능성이 적다”고 전망했다.
엄중식 가천대학교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역 완화 조치는 코로나 확산 정점 이후 확진자 숫자 등이 내려가는 상황에서 검토 가능하다”며 “현재는 방역 상황이 계속 나빠지고 있는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엄 교수는 “확진자 급증으로 의료 현장에서 관리가 어려워졌다고 해서 정부가 방역조치를 완화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정부는 방역의 기본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현재 정부는 코로나 사망자에 대한 고민이 없어 보인다”며 “향후 코로나가 가라앉으면 백신 접종 말고는 정부가 노력한 것이 없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계 관계자는 “코로나 확산세는 정점을 향해 달리고 있는데 정부 방역조치는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이제 국민들은 스스로 본인 건강만 챙길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