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3구역 입찰 마감···4월 중 시공사 선정
코오롱글로벌과 2파전···브랜드·인지도 우세
비대위, 다음 달 조합장 해임 총회 예고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포스코건설이 노량진 입성을 눈앞에 둔 모습이다. 노량진3구역 수주전이 다자구도로 진행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중견 건설사인 코오롱글로벌과의 2파전으로 압축되면서다. 브랜드와 인지도에서 앞선 데다 오랜 기간 공을 들여온 만큼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장 해임을 추진하는 등 조합 내홍은 변수로 꼽힌다.
◇포스코건설 우세 점쳐···수주 시 노량진뉴타운 첫 깃발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노량진3구역 재개발 시공사 최종 입찰에 포스코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이 최종 참여했다. 당초 수주전은 지난달 열린 2차 현장설명회에 대우건설, DL이앤씨, 롯데건설 등 17개 건설사가 참여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됐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2파전으로 압축된 모양새다.
대형사들이 대거 발을 뺀 건 해당 현장에 오랫동안 공을 들여온 포스코건설의 공세가 만만치 않아서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2월 노량진3구역이 사업시행인가를 받자 축하 현수막을 내걸고 상가에 영업소를 여는 등 적극적으로 수주활동을 펼쳐왔다. 또 입찰을 위해 단지명에 ‘더샵’을 뺀 ‘포스코 더 하이스트’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조합에 제안한 상태다.
노량진3구역은 노량진뉴타운에서 입지나 규모 모두 대장주로 꼽히는 사업지다. 8개 구역 중 유일하게 한강 조망이 가능한 데다 서울 지하철 1·9호선 노량진역이 가장 가깝다. 부지 내 노량진초등학교가 있어 ‘초품아’ 단지로 불리기도 한다. 사업지 면적은 7만3153㎡으로 1구역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재개발이 완료되면 지상 최고 30층, 1123가구 대단지로 탈바꿈하게 된다. 공사비는 3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업계에선 이번 수주전에서 포스코건설의 우세를 점치는 분위기다. 코오롱글로벌에 비해 브랜드와 인지도면에서 앞서 있어서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4위 업체로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다음이다. 반면 코오롱글로벌은 16위로 12단계 낮다. 아파트 브랜드 선호도 역시 앞선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 따르면 2월 아파트 브랜드 평판 순위에서 포스코건설의 ‘더샾’은 7위 코오롱글로벌의 ‘하늘채’는 20위를 각각 차지했다.
포스코건설은 노량진3구역 수주에 성공할 경우 노량진뉴타운에 첫 수주 깃발을 꼽게 된다. 노량진뉴타운은 서울 서남부권 노른자땅으로 꼽힌다. 노량진뉴타운은 입지와 교통이 우수해 흑석뉴타운과 신길뉴타운을 뛰어넘는 핵심 주거지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노량진뉴타운 8개 구역 중 시공사 선정이 안된 곳은 1구역과 3구역이 유일하다. 2구역은 SK에코플랜트, 4구역은 현대건설, 5구역은 대우건설, 6구역은 SK에코플랜트·GS건설, 7구역은 SK에코플랜트, 8구역은 DL이앤씨가 시공권을 확보했다. 조합은 4월 조합 총회를 열어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비대위, 조합장 해임 추진···“촉진계획 변경 후 시공사 선정해야”
다만 일부 조합원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는 등 조합 내홍으로 시공사 선정이 다소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비대위 측 조합원들은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이 완료된 이후로 시공사 선정을 미루자는 입장이다.
재정비촉진계획은 사업면적·세대주·용적률 등 재개발 사업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으로 사업성을 따져보는 단계다. 주요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조합에서 관할구청에 변경안을 접수하고 서울시 심의를 거치게 된다. 조합은 지난해 4월 동작구청에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을 제출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이 이뤄지지 않은 채 시공사가 선정될 경우 공사비 증액 등으로 갈등이 발생해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비대위 측 조합원은 “시공사 선정 이후 공사비 증액 이슈가 발생할 경우 다른 단지처럼 소송전이나 시공사 해지 등 어려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비대위는 다음 달 5일 총회 개최를 목표로 조합 집행부 해임도 추진 중이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조합원 10%가 동의하면 조합 임원 해임 총회를 개최할 수 있다. 노량진3구역 조합원 수는 588명으로 비대위는 조합원들에게 서면결의서를 받고 있다. 반면 조합은 시공사 선정을 강행한다는 입장이서 내부 진통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