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게임 앞세워 추가 성장동력 발굴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NHN이 지난해 게임, 결제, 커머스, 기술 등 모든 사업 부문에서 성과를 거두면서 매출 1조9204억원, 영업이익은 981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14.4% 늘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542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1% 증가했다.
4분기 게임 부문은 모바일 게임은 전년 동기 대비 4.6% 성장한 103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드래곤퀘스트 케시케시’ 출시와 ‘컴파스’ 일본 이벤트 흥행에 힘입어 성장했다.
결제 및 광고 부문은 페이코와 NHN한국사이버결제 거래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2178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수치다. 4분기 페이코 거래액은 약 2조1000억이다.
NHN은 “페이코 오더, 식권, 캠퍼스존 거래 확대로 오프라인 거래액이 79% 증가했다”며 “또 선불충전 결제수단인 ‘페이코 포인트’의 충전액과 결제액도 전년 동기보다 3배 이상 늘었다”고 설명했다.
중국 광군제 기간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린 커머스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56.3% 증가한 1166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NHN커머스 자회사 에이컴메이트는 중국 사업 호조로 지난해 역대 최대 거래액인 4조원을 기록했다. NHN글로벌도 연간 주문액이 전년 대비 27% 성장하며 10억달러(1조1900억원)를 초과하는 등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기술 부문의 경우 클라우드서비스공급자(CSP) 사업과 클라우드관리서비스(MSP) 사업이 고르게 성장해 4분기 매출은 66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62.4% 증가한 수치다. NHN클라우드와 NHN두레이가 공공 분야 경쟁력을 앞세워 사업 외형을 확대했다. 일본 NHN테코러스 중심 MSP 사업도 매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컨텐츠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6.4% 성장한 51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NHN벅스의 B2B 매출과 NHN티켓링크 공연 티켓 판매 성과에 따른 결과다.
NHN은 올해 게임 사업을 본격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난 1일 게임 부문 자회사를 NHN빅풋을 중심으로 통합하고 사업조직을 대폭 개편했다. NHN빅풋은 국내 웹보드 게임 시장 선두 자리를 지킨 동시에 P&E(Play&Earn) 게임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스포츠 예측 게임 ‘프로젝트 위믹스 스포츠’를 시작으로 4종의 게임을 블록체인 게임으로 선보인다. 또한 모바일 홀덤 게임 ‘더블에이포커’를 연내 출시해 글로벌 홀덤 게임 시장에도 도전한다.
결제 및 광고 부문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오프라인 결제와 ‘페이코 포인트’ 기반 거래를 확대할 방침이다.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잡은 ‘페이코 쿠폰’ 수익 모델도 다양화한다. 커머스 사업은 중국, 미국 등 글로벌 B2B 커머스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신규 서비스 출시와 상품 카테고리 및 지역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정우진 NHN 대표는 “지난해 게임, 결제, 커머스, 기술 등 모든 사업 부문이 활발히 성과를 거두면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종합 IT기업으로서 입지를 넓힐 수 있었다”며 “2022년은 게임 사업을 필두로 각 사업 분야의 추가 성장동력을 적극 발굴해 기존 성공 경험을 넘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한 해로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