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30 세대 아파트 매입 비중 31%···“집계 이래 최대치”
서울 집중 매입···강서·성동구는 절반 넘고, 노원구는 전년比 10%p↑
[시사저널e=염현아 기자] 지난해 매매된 전국 아파트 중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조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파른 집값 상승에 무리하게 대출을 받거나 전세를 끼고 주택 구입에 나선 ‘영끌족’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30 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평균 31%로 집계됐다. 해당 조사가 시작된 2019년 28.3%, 2020년 29.2%에 이어 처음으로 30%를 돌파한 것이다.
2030 세대는 특히 수도권 아파트를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서울은 지난해 2030 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41.7%로 전년(37.3%)보다 크게 늘었다.
지역적으로는 직주근접형의 도심이, 집값은 전셋값이 높고 매매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곳이 집중 매입 대상이 됐다.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2020년 38.6%에서 지난해 49.3%로 10%포인트(p) 이상 오른 노원구는 서울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젊은층의 인기가 높은 강서구도 2020년 46%에 달했던 비중이 지난해 51.5%까지 치솟았다. 성동구 역시 2020년 49.0%에서 지난해는 51.1%를 기록하며 절반을 넘었다.
관악구는 2020년 37.7%에서 지난해 47.3%로 10%p 가까이 늘었고, 동대문·구로구(각 46.9%), 서대문구(46.8%), 중랑구(46.5%), 영등포구(46%) 등지도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45%를 넘었다.
이에 반해 고가의 아파트가 밀집돼 2030 세대의 접근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강남3구의 2030 세대 매입 비중은 서울 평균을 밑돌았다. 강남구는 2020년 28.5%에서 지난해 26.7%로, 서울에서 유일하게 2030 세대 매입 비중이 감소했다.
다만 다른 강남권역인 서초구는 28.6%에서 32.5%로, 송파구는 33.9%에서 37.8%로 각각 늘었다.
지난해 광역 시도별 아파트값 상승률 1, 2위를 차지한 인천과 경기도 역시 2030 세대의 매입 비중이 부쩍 늘었다. 인천의 경우 2020년 27.2%였던 이 비중이 지난해 33.2%로 올랐고, 경기도는 30.4%에서 36.3%로 상승했다.
다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2030 세대의 활발한 매입세는 고강도 대출 규제로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한 지난해 8월 이후 다소 주춤한 모습이다. 지난해 7월 44.8%까지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의 2030 세대 매입 비중은 8월 41.2%로 줄었다가 10월 40.0%, 11월 39.9%, 12월 38.0%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