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업체와 손잡고 진단·인증서비스···“미래에 자체 플랫폼 구축해 회수까지”
배터리업계 ‘바스’(BaaS)로 사업다각화 추진···SK온도 진단서비스 시범 사업 중

배터리기업들이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를 시작으로 '바스'(BaaS) 사업으로 확대를 꾀하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배터리 기업들이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를 시작으로 '바스'(BaaS) 사업 확대를 꾀하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시사저널e=서지민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전기차 배터리의 잔여수명을 측정해주는 진단 서비스는 ‘바스(Battery as a Service·BaaS)’의 첫 단계가 되기 때문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지난 10일 LG에너지솔루션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 사업계획을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배터리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시 진단서비스와, 중고차업체에 제공하는 배터리 인증서비스, 중고배터리 거래를 위한 플랫폼 구축 등 3단계 사업모델이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롯데렌터카와 SK엔카에 진단·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고차업체를 통해 거래되는 전기차 배터리를 LG에너지솔루션이 직접 진단·평가하고 인증서를 발급하는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렌터카업체가 자체적으로 배터리 수명을 판단하는 것보다 배터리기업이 인증서를 발급하는 것이 공신력이 있다”며 “렌터카업체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도를 얻고, 배터리기업은 배터리 데이터 확보하는 윈윈하는 관계라고 판단했다. 해당 서비스는 고객을 더 확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진단 서비스는 바스 사업의 기초다. 바스란 전기차 배터리의 진단부터 관리, 회수, 재사용·재활용 등 배터리 전 생애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전기차 배터리의 경우 성능이 70~80%로 떨어지면 더 이상 차 배터리로 쓸 수 없다. 전기차 보급이 본격화한 만큼 배터리 잔여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진단 서비스부터 빠르게 활성화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도 배터리 진단서비스 사업 진출에 적극적이다. SK이노베이션은 LG에너지솔루션과 달리 개인 소비자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작년 11월부터 국내 최다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전기차 충전소 앱 ‘EV Infra’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단 서비스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기차 소유주가 이미 설치해놓은 앱을 통해 배터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인 주행습관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방안 및 잔여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지금은 서비스 신청을 한 어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 중”이라면서 “아직 구체적 내용은 정해진 게 없지만 추후에는 일반 소비자들 전체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배터리 기업들은 진단서비스를 기초로 해서 바스 사업을 확대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배터리 잔여수명 진단·인증→관리→회수→재사용·재활용으로 이어지는 바스 사업 체인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배터리 제조·판매뿐 아니라 배터리 관련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B2B인 배터리 사업부문을 B2C로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장기적으로 자체 플랫폼을 마련해 전기차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진단·인증부터 나아가 배터리 회수까지 하겠다는 구상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사용후배터리를 회수하면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사용하거나, 재활용을 통한 희소금속 추출도 가능하다. 이를 모두 할 수 있도록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도 진단서비스를 더 발전시키고, ESS사업으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과 함께 효율적인 사용후배터리 진단을 위한 배터리 팩단위 검사체계를 개발 중이다. 시범적으로는 건설현장 내 동력원으로 쓰이는 ESS를 공급하는 실증사업도 하고 있다.

다만 아직 민간기업 차원에서 사용후배터리 확보가 쉽지 않은 만큼 당장은 배터리 진단·관리서비스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향후 사용후배터리 시장이 커질 때를 대비해 폐배터리거점수거센터 등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법개정을 통해 올해 1월부터는 민간기업이 사용후배터리를 매입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