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 받은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된 만큼 사면 명분 얻어
차기 정권에서 국민통합 차원 사면 이뤄질 가능성 거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내년 삼성전자 주주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이슈 중 하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회장 승진 여부다. 회장 승진의 전제조건으로 이 부회장 사면이 꼽히는데, 현재로선 뇌물을 받은 박근혜 전 대통령도 사면을 받았고 정권도 바뀌는 만큼 긍정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근 정부는 박 전 대통령을 사면하고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복권을 단행했다. 정부는 박 전 대통령 사면은 순수 대통령의 결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사면 및 복권 조치는 여러 뒷말을 낳았다. ‘국민통합’ 차원이라고 하면서 이 전 대통령 대신 박 전 대통령을 사면시킨 점, 촛불시위를 통해 국민들의 압도적 찬성을 등에 입고 탄핵시킨 박 전 대통령을 사면시키는 것이 국민통합이 맞는지 등이다. 박 전 대통령의 사면과 관련해선 계속해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권이 출범하며 횡령, 뇌물 등 5대 중대범죄에 대해 사면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점도 비판 받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은 사면을 못 받고 가석방만 받아 경영활동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관련, 5대 중대범죄 사면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 때문이란 해석이 있었는데 박 전 대통령을 사면함으로써 해당 명분도 없어졌다. 이 때문에 왜 이렇게까지 박 전 대통령을 사면하려 했는지에 대해 갖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야권에선 대선을 앞두고 야당을 갈라치기 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어쨌든 박 전 대통령의 사면으로 차기 정권이 이 부회장을 사면하는데 대한 부담도 한층 덜게 됐다는 분석이다. 돈을 받은 박 전 대통령도 사면한 마당에 하물며 돈을 준 이 부회장 사면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재계에선 내년 3월 대선 이후 시점을 주목한다. 국민통합 및 경제위기 극복 차원에서 이 부회장에 대한 사면 및 복권을 시행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총수일가 사면을 경험한 한 대기업의 임원은 "사면 및 복권 조치는 꼭 광복절을 기다릴 것 없이 정권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서면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부회장이 사면된다면 이후 자연스레 회장 승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4대 그룹(삼성·현대차·SK·LG) 가운데 총수가 회장 승진을 하지 못한 곳은 현재 삼성뿐이다. 이 부회장이 사실상 총수 역할을 하는 현 시점의 회장 승진이 큰 의미를 갖진 않을 것이란 해석도 있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이재용 부회장을 동일인(총수)으로 지정하고 있다는 점, 삼성전자를 대표해 대외활동을 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이미 부회장 직함으로 회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회장 승진에 나서게 된다 해도 상징적 의미 이상이 있을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사면이 이뤄져 경영활동에 제약이 없어지고 회장이라는 공식 타이틀을 갖게 된다면 이 부회장이 더욱 적극적으로 경영활동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의 회장 등극은 총수로서 비정상적이던 주변 상황이 모두 정리된다는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한 재계 인사는 “이미 이재용 부회장이 실권을 갖고 있다는 건 다 알려진 사실이지만, 해외 등 대외 활동에 회장이라는 직함과 부회장이라는 직함이 주는 힘은 다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