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당진제철소 불법점거 사태 해소하면서 노사 합의서 작성
노사, 협의체 꾸려 다섯 차례 공정 전환 논의했지만 입장차 여전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사진=현대제철 제공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사진=현대제철 제공

[시사저널e=서지민 기자] 현대제철과 당진제철소 비정규직 노조가 연내 직무 재배치 내용을 두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노조는 사측이 의도적으로 직무 재배치를 미루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으며 조율과정에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금속노조 현대제철 비정규직 노조는 지난달 29일부터 현대기아차 본사 앞에서 하고 있는 집회를 오는 10일까지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0월 노사가 맺은 합의서 이행을 요구하는 집회다.

지난 10월 13일 현대제철과 노조 간 합의에 따라 당진제철소 통제센터 불법점거 사태가 해소된 바 있다. 노조는 현대제철의 자회사 정규직 전환 방침을 거부하면서 53일간 통제센터를 점거했었다.

현대제철 노사에 따르면, 합의서 내용은 협력업체 직원의 고용보장과 자회사·협력사 직원들의 연내 직무 재배치를 골자로 한다. 협력사 직원의 경우 별도 협의체를 구성해 올해 말까지 공정 재조정 및 전환배치를 완료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합의 이후 노사는 직무 재배치를 위해 총 다섯 차례 협상 테이블에 앉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여전히 양측의 입장 차가 커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이다.

한만주 금속노조 현대제철 수석부지회장은 “자회사가 중요한 공정을 다 가져갔고, 협력업체 직원들은 합의 이후 직무를 받지 못해 여전히 대기상태”라며 “사측이 파업에 대한 우려로 직무 재배치를 의도적으로 미루는 것처럼 보인다. 결국 원래 하던 일이 아닌 주변부 일을 받게 될 거란 우려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측에서 결과적으로 합의를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투쟁을 하는 수밖에 없다”며 “우리 입장에서는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밖으로 나와 투쟁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사측은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협력사 노조가 기존의 공정을 그대로 가져가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노조 말 대로면 자회사 직원들을 공정에 투입하기 어렵게 된다”며 “양측 입장이 엇갈려 협의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직무 재배치는 사측이 일방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협의를 통해 진행하고 있다”며 “협력사 직원들도 모두 우리 회사에서 일하는 직원들이고, 각 공정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인데 사측이 의도적으로 직무 재배치를 늦출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협의 기간이 남았다. 연말까지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일 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차 본사 앞에서 금속노조 현대제철 비정규직 노조가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서지민 기자

한편 현대제철과 비정규직 노조 간의 갈등은 현대제철이 자회사를 설립해 사내 협력사 비정규직 노동자를 전부 정규직으로 고용하기로 하면서 시작됐다. 일부 협력사 직원들은 사측이 불법파견을 인정하지 않은 채 자회사를 통한 정규직 전환 꼼수를 부린다며 이를 반대해 왔다. 현재 현대제철 협력사 직원 중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한 사람은 절반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측은 “불법파견을 인정받기 위해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도 계속 하고 있다”며 “시간은 오래 걸리겠지만, 조선업계나 철강업계에서도 불법파견 소송 건에서 패소한 적이 없어서 승소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