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이재환 지시로 마약 샀다” 진술 확보···공동정범 입건 가능성
“진술만으로도 신체·모발·소변 등 영장가능”···투약 혐의까지 확대될 수도

CJ그룹 이재현 회장의 막냇동생 이재환 재산홀딩스 회장. / 사진=연합뉴스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막냇동생 이재환 재산홀딩스 회장.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주재한 기자] 이재현 CJ회장의 막냇동생 이재환 재산홀딩스 회장 비서가 마약을 구입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 회장이 공동정범으로 의심받는 상황인데 법원의 영장발부 여부가 향후 수사 방향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30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는 이 회장의 비서 A씨를 마악류관리에관한법률 위반 혐의로 입건해 지난달 소환조사했다.

경찰은 A씨가 인터넷을 이용해 마약을 구입한 사실을 확인하고 1차 조사를 한 상태이며, 이 회장의 지시에 의한 마약 구매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A씨는 경찰에서 이 회장 지시로 인터넷을 통해 칸나비디올(CBD)오일을 샀다고 진술했다고 알려졌다. 또 이 회장 명의의 카드를 사용해 CBD오일을 산 것으로 전해졌다. CBD오일은 대마성분이 함유돼 마약류로 분류된다.

A씨의 진술이 사실이 경우 이 회장 본인과 관계인들에 대한 조사는 불가피해 보인다.

마약수사에 정통한 한 경찰관계자는 “비서가 이 회장의 매매 지시 사실을 구체적으로 증언했다면 이 회장을 공동정범으로 입건해 수사할 가능성이 크다”며 “마약 사건은 녹음파일 등 물증 없이 공범의 진술만으로도 압수영장 신청 등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마약 수사는 실무적으로 임의수사가 어렵고 강제수사를 위해 영장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신체나 모발, 소변 등에 대한 압수영장 발부 여부가 관건이 될 것 같다”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신체 등에 대한 영장이 발부된다면 단순매수뿐만 아니라 투약에 대한 수사까지 진행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경찰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뢰로 마약류 취급 사이트를 수사하던 중 A씨의 범죄 혐의점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현재까지 이 회장을 입건하지는 않은 상태다.

이 회장은 재산커뮤니케이션즈와 CJ파워캐스트 대표, CJ제일제당 인사팀장으로 일하면서 회삿돈 총 27억여원을 횡령·배임한 혐의로 지난해 9월 재판에 넘겨졌다. 지난달 1심에서 대부분 혐의가 유죄로 인정돼 징역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이 회장은 선고를 앞둔 지난 9월 CJ파워캐스트 대표직을 내려놓고 회사 지분을 모두 매각했다.

한편 CJ그룹 측은 "이재환 회장은 회사에 소속된 사람이 아니고 개인적인 사안이기 때문에 회사 차원의 별도 입장은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