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거래량, 전달 대비 30% 이상 급감 이후 감소추세 이어가
거래량이 수수료율보다 매출에 큰 영향···정부에 매물 출현위한 양도세 인하 등 요구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서울 아파트 거래가 얼어붙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 중인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이 흥행몰이를 이어가면서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다시 증가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서울 전체 거래량은 한 달 사이 30% 이상 급감했다. 거래량 급감이 시작된 시기에 정부의 공인중개비 인하까지 겹친 공인중개사들은 사실상의 개점휴업에 울상 짓고 있다.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5~8월까지 한 달 평균 약 4000건의 아파트 손바뀜이 있었다. 그러나 9월에는 32.5%나 급감한 2702건에 불과했고, 지난달에는 2304건으로 더 감소추세를 보였다. 이달은 아직 집계기간이 남아있긴 하지만 전일 기준 580건에 불과하다.
똘똘한 한 채 열기에도 강남권 역시 거래량이 반토막 나기는 마찬가지다. 서초구는 8월에 265건의 매매거래가 성사됐지만 9월 147건으로 거래가 현격히 줄었고 지난달과 이번달 역시 각각 104건, 25건(집계 진행 중)으로 시장이 얼어붙었다. 송파구 역시 8월 거래량이 265건이던게 이후 9월 147건으로, 10월 104건으로, 이달 25건(집계 진행 중)으로 가파른 거래급감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달 집계가 완료되더라도 지난달을 넘어서기엔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수년 간 지칠 줄 모르고 상승 분위기를 이어가던 서울 부동산 시장이 한 풀 꺾인 원인으로는 정부의 대출규제와 금리인상, 종합부동산세 인상 여파가 꼽힌다. 앞서 서울 등 규제지역의 경우 거래가 6억원 초과 대출에 대해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규제가 적용됐다. 그만큼 시중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도 3% 후반에서 최고 5%까지 치솟으면서 그동안 시장 불장을 이끌어온 이른바 영끌, 빚투 세력이 급감한 것도 매수세 위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거래량이 쭉 빠지면서 공인중개사들은 울상 짓고 있다. 가뜩이나 정부의 수수료 인하 시행 시기와 맞물려 거래량까지 급감했으니 수익이 나질 않아서다. 정부는 치솟은 집값이 수수료에 고스란히 반영된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달부터 부동산 공인중개 수수료 요율 상한을 일부 조정했다. 인하된 요율 상한이 적용하면서 매매가 10억원의 아파트는 9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전세가 8억원의 아파트는 640만원에서 320만원으로 중개보수가 감소한 상태다. 여기에 거래량까지 감소하니 수익이 예년 같지 않아 애로사항을 호소하는 것이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수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수수료율이 아닌 거래량이다. 때문에 최근의 시장 분위기에 일선 현장에서 힘듦을 토로하며 직원을 줄이는 등의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면서도 “다만 정부에 거래량을 늘려달라 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나. 때문에 정부를 상대로 투쟁 예정 등의 이슈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거래량 감소가 정부정책의 부분인 세제 문제이기 때문에, 양도세 등을 조정함으로써 시장에 매물이 출현할 수 있도록 꾸준히 제안은 하고 있다. 사무실 임대기간 등이 있기 때문에 당장 폐업률이 갑자기 늘진 않지만 이런일 있으면 최소 수개월에서 길게는 1~2년 뒤에 폐업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