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환자 661명, 최다 기록 갱신···사망자 44명, 누적 치명률 0.81%

질병관리청 청사 전경. / 사진=연합뉴스
질병관리청 청사 전경.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032명으로 집계됐다. 직전일에 비해 277명 줄었지만 10세 미만 사망자가 처음으로 발생했다.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032명이다. 이중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003명이다. 해외유입 사례는 29명이 확인됐다.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4만7230명이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의 의심환자 검사 건수는 6만4933건이다. 임시선별검사소의 검사 건수는 15만5798건이다. 전날 총 22만731건 검사가 진행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직전일(3309명)에 비해 277명 줄었다. 단, 월요일 발생 기준(발표일 기준 화요일)으로는 최다치 기록이다. 직전 최다치였던 1주일 전(23일) 2698명과 비교하면 334명 많다. 위중증 환자는 전날(629명)보다 32명 증가한 661명이다. 지난 23일부터 6일 연속(549명→586명→612명→617명→634명→647명) 최다치를 기록하다 전날 다소 줄었다.

하지만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형국이다. 위중증 661명 중 556명이 60대 이상이다. 전체 위중증 환자 가운데 고령층 환자 비율이 84%에 달했다. 그 밖에 50대 60명, 40대 25명, 30대 15명, 20대 1명, 10대 3명, 10세 미만도 1명이다.

코로나로 사망한 환자는 44명이다. 누적 사망자 수는 3624명이다. 국내 누적 치명률은 0.81%다.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한 지난 1일 0.78%였던 누적 치명률은 연일 30∼50명대 사망자가 나오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사망자 중 26명은 80세 이상, 8명은 70대, 7명은 60대, 2명은 50대다.

특히 0∼9세 연령대에서도 처음 사망자가 1명 나와 당국이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급증하고 중환자 병상 가동률 등 각종 의료 대응 지표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지난주 코로나 유행 위험도가 전국 단위에서 ‘매우 높음’으로 진단했다.

최근 1주간 발생한 일별 신규 확진자는 4115명→3937명→3899명→4067명→3925명→3309명→3032명이다. 하루 평균 3755명꼴이다. 해외 유입 사례를 제외한 지역발생 확진자는 일평균 3729명이다.

지역발생 신규 확진자 수를 보면 서울 1176명, 경기 907명, 인천 191명 등 총 2274명(75.7%)으로 수도권 중심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 비수도권은 강원 84명, 충남 81명, 부산과 대구 각 77명, 경북 68명, 경남 60명, 충북 59명, 광주 51명, 전북 50명, 대전 41명, 전남 35명, 세종 22명, 제주 21명, 울산 3명 등 총 729명(24.3%)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