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저축은행에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 올해 절반 수준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 하향 조정 시 대출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

금융감독원 /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에 대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내년부터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이 제2금융권에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기준을 제시하며 내년도 관리 목표를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 보험사, 카드사 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가계대출 증가율 기준이 전달됐는데,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는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전해진다. 

저축은행은 올해 증가율 목표치가 21.1%였지만, 내년부턴 10.8~14.8% 증가율을 요구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고금리 대출에 대한 증가율은 5.4% 이내의 수준이 제시됐다. 

반면, 보험사와 카드사에 대해서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요구된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사에게는 4%대가, 카드사에겐 6~7%대의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가 요구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저신용자의 대출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법정 최고금리가 하향된 데 이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가 감소하면 저축은행으로선 신용등급이 높은 고객을 선호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이러한 조치는 올해 비은행권 가계대출 잔액 증가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올해 1~10월 비은행권 가계대출 잔액 증가액은 32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4조4000억원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제1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 증가액은 동기간 69조원으로 지난해 80조4000억원에 비해 줄어들었다. 제1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워 비은행권으로 대출 수요가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 하향 조정으로 서민들의 대출이 더욱 어려워져 생활고가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