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개 국내기업 지수 포함···평균점수 글로벌 기업과 격차 줄어

2021 DJSI 국내 기업의 부문별 성과 / 그래픽=KPC한국생산성본부 제공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올해 국내 기업 6곳이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DJSI World)'에 새롭게 포함됐다. 신규 편입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 SK텔레콤, 카카오, 현대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현대모비스 등이다. 

KPC한국생산성본부(이하 KPC)는 13일 이 같은 내용의 2021 DJSI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1999년 처음 평가가 시작된 DJSI는 지속가능성 평가·투자 지수다.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성과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및 책임투자 기준으로 활용된다.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한 'DJSI 월드 지수'에는 평가 대상 2544개 기업 중 12.7%인 322개 기업이 편입됐다. 이 가운데 국내 기업은 이번에 새롭게 포함된 6개 기업을 포함해 21개다. 

삼성전기는 13년 연속, 삼성증권·에쓰-오일·현대건설은 12년 연속, 미래에셋증권·SK·LG전자는 10년 연속 편입됐다. 신한금융지주회사(9년), 삼성SDI(7년), 코웨이·KB금융지주·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6년), 삼성물산(5년) 등도 장기 편입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609개 기업을 평가한 'DJSI 아시아퍼시픽 지수'에는 국내 기업 32개가 새롭게 포함됐다. 두산중공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우리금융지주, 카카오, 현대차가 신규 편입 기업이다. 장기간 이름을 올리고 있는 기업은 삼성SDI, 삼성전기, 신한금융지주회사, SK텔레콤, LG화학, KB금융지주, 현대제철 등이다. 

국내 203개 기업을 평가 대상으로 한 'DJSI 코리아 지수'에는 43개 기업이 편입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 SK케미칼, LG이노텍, 카카오가 신규 편입됐다.

올해 DJSI 평가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전반적인 수준이 올라간 것으로 파악된다. 글로벌 기업의 평균점은 작년과 비교해 0.6점 하락한 76.5점을 기록한 반면, 국내 기업의 평균점은 같은 기간 1.1점 상승한 70.9점이었다.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가 작년 7.3점에서 올해 5.6점으로 1.7점 줄었다. 

하지만 DJSI 평가 항목 중 지배구조와 리스크 부문 점수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 대비 각각 26.4점, 16점 낮아 격차는 여전했다. 기후변화 전략도 점수 차가 10점 넘게 났다. 

김하경 KPC 지속가능경영본부 연구원은 "2021년에는 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적용, 기후변화 시나리오 도입 등 기후변화 관련 요구 수준이 높아졌다“라며 ”기후변화 이슈 관련 상세한 관리방안을 수립하지 않은 기업들이 점점 대응하기 어려운 문항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