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삼바 3공장서 모더나 백신 출하식 열려···글로벌 백신 허브화 시동
존 림 대표 “내년 상반기엔 원액 생산라인 구축할 것”
권덕철 장관 “삼바 위탁생산분 해외 공급 땐 한국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백신 허브”
[시사저널e=염현아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의 국내 공급이 시작됐다. 이는 모더나와 계약을 체결한 지 5개월 만이다. 삼바는 모더나 완제품 출하에 이어 내년 상반기엔 원료 생산을 위한 준비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데 삼바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8일 오전 인천 송도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앞에서 모더나 백신 출하식이 열렸다. 삼바의 초도생산분 243만5000회분 중 이날 출하된 첫 물량은 112만1000회분으로, 모더나 백신의 국내 유통을 맡은 GC녹십자 오창공장으로 옮겨져 전국으로 공급된다. 나머지 131만4000회분은 29일 출하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출하된 모더나 백신은 4분기 신규 접종을 비롯해 2차 접종 및 추가접종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날 출하식에 참석한 존 림 삼바 대표는 “완제뿐 아니라, 원재의약품생산라인도 내년 상반기까지 구축할 예정”이라며 “다양한 치료제·백신에도 투자해 팬데믹 극복은 물론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5월 모더나사와 코로나19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완제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한 삼바는 정부의 글로벌 백신 허브 구상에서 중추적인 위치에 자리했다.
현재 모더나 백신의 바이알(유리병) 무균충전, 라벨링, 포장 등 병입 단계를 담당하고 있는 삼바가 원액 생산까지 하게 된다면,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화가 본격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존 림 대표는 “글로벌 시장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모더나와 계약을 성사시켰다”며 “국민과 정부 지원 덕분에 무려 5개월 만에 생산이 가능했다”고 자평했다.
업계에 따르면 mRNA 백신의 완제품이 5개월이란 짧은 기간에 생산된 것은 삼바가 첫 사례다. 당초 업계에선 최신 기술인 데다 생소한 백신 공정을 요하는 만큼 mRNA는 생산은 연말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삼바는 목표대로 3분기 말 생산에 성공했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이번 도입으로 국내에 안정적인 백신 생산 기반이 마련됐다”며 “우리 기업이 생산한 백신이 해외에도 공급되면 한국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백신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