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매출 18조7867억원, 영업이익 5407억원
GM 리콜 충당금 반영되면서 영업이익 ‘반토막’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LG전자가 생활가전사업에 힘입어 3분기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영업이익은 GM 리콜 충당금이 전년 동기보다 하락했다.
LG전자는 지난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8조7867억원, 영업이익은 5407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22%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49.6% 감소했다.
생활가전(H&A)사업본부 3분기 매출은 7조611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치다. 단일 사업본부 분기 매출이 7조원을 돌파도 처음이다. 영업이익은 5054억원이다.
H&A사업본부 호실적은 프리미엄 가전의 제품 경쟁력이과 현지화 전략 덕분이다. 이 기간 스팀가전을 비롯한 신가전과 ‘오브제 컬렉션’ 판매가 증가했다. 또 북미, 유럽, 중남미 등 주요 시장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이상으로 나타났다.
TV(HE)사업본부도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3.9% 상승한 4조181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최근 4분기 연속 4조원대 매출이다. 올레드 TV와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 확대가 매출 성장으로 이어졌다. 특히 올레드 TV 출하량은 전년 동기보다 2배 수준으로 늘었다.
다만 영업이익은 208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6%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로 비대면 수요가 감소하면서 TV 시장이 둔화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전장(VS)사업본부는 3분기 매출 1조7354억원, 영업손실 5376억원을 기록했다. GM 리콜 충당금이 이 부문에서 반영되면서 적자가 지속됐다. LG전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이 계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관리에 집중하고 수주를 확대해 전장 사업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PC·모니터·디지털사이니지 등 BS사업본부 3분기 매출은 1조6899억원, 영업손실 123억원이다. 재택근무와 온라인 교육 장기화로 노트북, 모니터 등 IT 제품 수요는 증가했지만, 반도체 공급난과 부품 가격 상승이 더해지면서 수익성이 악화됐다.
LG전자는 4분기에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할 것으로 전망했다. ‘위드 코로나’ 전환이 경제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물류비 증가 등의 원가 인상이 부담 요인이다.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도 제기된다.
LG전자는 4분기 생활가전과 TV 등의 주력 사업에서 프리미엄 제품 비중을 확대하고, 공급망 관리를 강화해 시장 지배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또 전장사업, 인공지능 등의 신사업에도 선제적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H&A사업본부는 적극적인 프로모션과 현지화 전략을 강화해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유지한다는 목표다. HE사업본부는 올레드 TV 중심으로 프리미엄 제품 비중을 늘려 수익성을 추구한다. VS사업본부는 공급망 관리와 효율적 자원 운영으로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BS사업본부는 전략 제품 중심으로 사업 운영을 최적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