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의원 “10년 전에도 탄소배출 감축 약속 했는데 지켜지지 않아”

김학동 포스코 사장 / 사진=연합뉴스
김학동 포스코 사장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서지민 기자] 산업통상자원위원회(산자위) 국정감사에 김학동 포스코 사장이 증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의 탄소배출 감축 계획이 도마 위에 올랐다. 

20일 국회에서 열린 산자위의 산업통상자원부 종합감사에서는 포스코의 탄소중립 계획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포스코의 탄소 배출량이 국가 전체의 10%를 차지하고 있다”며 “10년 전인 2010년에 발표한 온실가스 감축 계획도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실에 따르면 2010년 포스코는 2020년까지 철강 1톤 당 온실가스 배출량 9%를 줄이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실상 1.9% 낮추는 데에 그쳤다. 사회적 온실가스 감축 계획 역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에게 탄소중립은 주요 이슈다. 포스코는 9년 연속 국내 탄소배출량 1위 기업을 차지했다. 2020년 탄소배출 현황을 보면 포스코가 7567만 톤을 배출해 1위를 차지했고, 대기오염 물질 배출 1·2위 사업장도 포스코의 광양제철소와 포항제철소다. 산업계의 탄소중립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특히 포스코의 탄소중립 계획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포스코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20%, 2040년까지 50%,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감축 계획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30년 탄소배출량 20% 감축 목표 중 10%는 사회적 감축분에 해당한다. 사회적 감축은 고품질 철강제품 공급, 철강 부산물 활용 등을 통해 사회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탄소배출량을 줄인다는 의미다. 다시 말해 포스코가 사업장 자체에서 줄이는 탄소배출량은 아니라는 의미다.

이에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계획을 보면 탄소배출량 20% 중 사업장 감축은 10%밖에 되지 않고, 나머지는 사회적 감축”이라며 “이런 감축 계획은 ‘말장난’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포스코가 추진 중인 수소환원제철 사업도 시간과 비용이 크게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소환원제철 공법은 100% 수소를 활용해 철을 만들어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공법이다. 이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철강업계에서 포스코를 ‘게임 체인저’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기술이다. 포스코는 10~20년 내에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2050년까지 차례대로 수소환원제철 공법이 적용된 고로로 교체하겠다는 목표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당장 예비타당성 조사에 포함된 예산은 1조원”이라며 “포스코의 개발 계획에 맞춰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학동 사장은 의원들의 탄소배출 감축 계획에 대한 질타에 대해 “포스코의 탄소배출 감축 계획은 차질 없이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