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정산 시스템 구축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웹툰작가 불공정계약 및 수수료갑질 논란을 빚은 카카오엔터가 정산 시스템을 바꾼다. 웹툰·웹소설 작품의 매출 60% 이상을 작가 수익으로 보장하고, 그동안 콘텐츠제공사(CP)사에 제공됐던 정산 세부 내역을 작가들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0일 카카오엔터는 작가 생태계 개선을 위한 첫번째 개선안을 발표했다. 개선안에는 선투자 작품 기준 이벤트캐시 정산분을 최소 5%이상 보장하는 방안이 담겼다. 또 작가들이 정산 현황을 직접 파악할 수 있는 정산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도 포함했다. 이외에도 ‘기다리면 무료(기다무)’ 서비스 작품을 늘리고, 저소득 청년작가 가운데 재능 있는 신진작가를 선발·육성한다.
카카오엔터는 개선안 발표에 앞서 올해 카카오페이지의 실질 정산율을 공개했다. 실질 정산율은 이용자가 실제로 결제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 정산 비율을 의미한다.
카카오페이지의 올해(1~8월) 선투자 작품 누적 정산율 집계에 따르면 실제 콘텐츠 결제분(55%)과 이벤트 캐시 등의 정산분(14%)을 합쳐 총 69%의 수익이 콘텐츠 제공자인 CP와 작가에게 배분됐다. 이외 결제 수수료가 8%, 카카오엔터의 수익배분율은 23%였다. 이벤트 캐시는 작품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카카오페이지가 이용자에게 지급하는 무상 캐시다.
카카오엔터는 1차 개선안에서 선투자 작품을 대상으로 각 작품별 이벤트캐시 정산분이 5%가 넘도록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이벤트 캐시 혜택이 적은 콘텐츠 제공자도 최소 60%의 수익배분율을 보장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향후 콘텐츠 제공자와의 계약서에는 ‘이벤트 캐시 정산분 5%이상 보장’이 명기된다.
작가들의 요구 사항 중 하나인 정산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내놨다. 그동안 CP사에 제공됐던 정산 세부 내역을 작가들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카오엔터 관계자는 “가능한 한 빠르게 파트너들과 긴밀한 협의를 시작해 내년 상반기 중 시스템 오픈을 목표로 작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카카오엔터는 현재 7개 자회사 CP들을 대사응로 불공정 계약이나 불투명한 정산 등의 문제가 있는지 전수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관련 문제가 발견될 경우 적극적인 시정 조치할 계획이다.
이번 발표를 시작으로 카카오엔터는 창작자와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개선안들을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카카오엔터가 수익의 최대 45%를 가져간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동훈 웹툰작가노조위원장은 플랫폼 기업은 수익의 30~50%를 가져가고, 남은 돈은 제작사와 메인작가가 반씩 나눈다고 지적했다. 또 카카오엔터는 선투자한 작품의 경우 총 45%를 가져가 과도하단 비판이 나왔다.
카카오엔터 관계자는 “이번 개선안뿐 아니라 저소득 청년작가 가운데 재능 있는 작가를 선발·육성하는 창작 지원책도 빠른 시일 내에 나올 수 있도록 검토 중”이라며 “국내 창작 생태계를 위해 다양한 장르의 웹툰·웹소설이 창작 환경을 조성하고, 신진 작가층 육성 개선안도 차례대로 발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