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준성-김웅-조성은’ 고발장 전달 과정 확인···“기억 안나” 해명 힘 잃어
공수처, 윤석열 등 7명 입건해 수사···민주당 “하루속히 조사하라”
김 “녹취록, 앞뒤 잘라 방송” 반발···윤 “관여하지 않았음이 증명”
[시사저널e=주재한 기자] 윤석열 검찰총장 당시 검찰의 여권 인사에 대한 ‘고발사주’ 의혹 핵심인물인 김웅 국민의힘 의원과 공익제보자 조성은씨가 나눈 대화가 공개됐다. 김 의원 등 주요 피의자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가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는 최근 조씨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해 지난해 4월 조씨와 김 의원 사이 통화파일을 복구했다. 해당 통화는 김 의원이 조씨에게 텔레그램으로 고발장 사진을 전달하기 전후에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MBC PD수첩이 전날 공개한 녹취록에서 김 의원은 ‘저희가’를 포함해 제3자를 지칭하는 표현을 반복한다. 또 ‘내랍니다’나 ‘위험하대요’라는 표현을 쓰는 등 제3자의 말을 전달하는 뉘앙스를 계속해서 풍기고 있다.
녹취록에서 김 의원은 “고발장 초안을 아마 저희가 만들어서 일단 보내드릴게요” “고발장을 남부지검에 내랍니다” “남부 아니면 조금 위험하대요”라고 말했다.
또 다른 녹취록에서 김 의원은 고발장을 서울남부지검이 아니라 대검찰청에 내라고 말을 바꿨다. 그는 “우리가 어느 정도 초안을 잡아놨다” “이 정도 보내면 검찰에서 알아서 수사해 준다” “그쪽에다가 이야기를 해 놓을게요”라고 했다.
특히 김 의원은 윤석열 전 총장의 이름도 언급했다. 김 의원은 “제가 (고발장을 제출하러) 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고발한 것이다’가 나오게 되는 것”이라며 “고발장 관련해가지고는 저는 쏙 빠져야 되는데”라고 했다.
구체적 지시 정황이 담긴 녹취록 공개로 “고발장 등을 받았는지 기억나지 않는다”라던 김 의원의 해명은 힘을 잃었다.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인권보호관)-김 의원-조성은씨로 이어지는 고발장 전달 과정이 공개적으로 확인된 셈이다.
수사 동력을 얻은 공수처가 김 의원 소환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김 의원은 소환시점을 국정감사 이후로 미뤄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관련자들에 대한 조속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공수처는 김 의원 외에도 윤 전 총장, 한동훈 전 대검 반부패강력부장, 권순정 전 대검 대변인(현 부산지검 서부지청장), 손 전 정책관 등을 7명을 입건해 수사 중이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해당 녹취록 속 목소리가 자신의 것이라는 점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다만 “방송을 보면 앞뒤 다 자르고 이야기한 게 많다”며 “(고발장 전달자가) 검찰은 아닌 것 같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 대통령 선거 후보자 캠프도 입장문을 통해 “녹취록 공개로 오히려 윤 후보가 관여하지 않았음이 증명되었다”며 “고발사주는 거짓 프레임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