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분기 판관비 7639억원···전년比 2.0%↓
임직원 및 영업점 감축도 이어져
카드업계, 카드수수료 추가 인하 조짐에 ‘반발’

카드업계 분기별 판매관리비 추이/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카드업계 분기별 판매관리비 추이/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카드사들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허리띠 졸라매기에 여념이 없다. 내년부터 3년간 적용될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 발표가 임박하면서 또 한번 수수료율 인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카드사들은 하반기 영업 환경 악화에 대비해 긴축 경영에 힘을 쏟는 모습이다.

1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 등 8개 전업 카드사의 판관비(판매비와 관리비)는 7638억96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794억5600만원)보다 2.0%(155억6000만원) 감소했다.

카드사별로 보면 롯데카드의 판관비가 가장 크게 감소했다. 롯데카드의 올 2분기 판관비는 674억6100만원으로 전년 동기(1061억7000만원) 대비 36.5% 줄었다. KB국민카드(-2.1%), 하나카드(-1.4%), BC카드(-2.3%) 등도 1년 새 판관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판관비 축소와 더불어 인원 감축에도 분주하다. 지난 6월 말 8개 카드사의 임직원 수는 총 1만2093명으로 1년 전보다 인원이 135명 감소했다. 영업점 수도 줄어드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8개 카드사의 국내 영업점 수는 총 197개로 지난 2019년 상반기 대비 13개 줄었다.

카드업계가 이처럼 판관비와 몸집 줄이기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가맹점 카드 수수료율 재산정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업황 악화가 우려되는 까닭이다. 카드업계는 이미 수차례 계속된 수수료율 인하로 본업인 신용판매 부문에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인원 감축, 판관비 절감 등으로 비용을 줄여 수익성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그간 카드사들은 신용판매 부문의 적자를 상쇄하고자 그간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사업 다각화에도 노력을 기울여왔다. 카드론, 자동차 할부금융, 리스업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이런 수익성 제고 노력을 통해 순익이 늘자 오히려 카드업계의 수수료 인하 명분이 되면서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카드업계는 다음 달 카드수수료 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추가 인하 조짐이 보이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카드사노동조합협의회(카드사노조)는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 정문 앞에서 카드수수료 추가 인하 반대 및 적격비용 재산정 제도 폐지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카드수수료 적격비용 재산정은 지난 2012년 개정된 여신전문금융업법(여전법)에 따라 도입됐다. 카드수수료는 해당 제도가 도입된 2012년부터 13번에 걸쳐 인하된 바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적격비용 재산정으로 가격을 철저히 통제받으면서 카드사들의 신용판매 결제 부문은 이미 적자 상태”라며 “이로 인해 영업점 축소는 물론 카드모집인 등 관련 인력 감축도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비용절감 노력을 이어왔고 본업에서의 수익성 악화를 막기 위해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것”이라며 “이런 노력으로 카드사들이 순익을 거두자 이를 또다시 카드수수료 인하의 명분으로 삼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