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만원 이하 연체 갚으면 연체이력 공유 안 해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가계경제 부담이 가중되면서 가계대출도 역대급으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그만큼 연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은행 금융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국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52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988조8000억원 대비 6.5% 증가했습니다.

대출 연체의 가장 큰 문제는 연체가 이력으로 남아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대출 조건이 불리해지거나 통장 및 카드 발급에 제약이 생기는 등 금융생활에 전반적인 불이익을 초래한다는 점입니다. 이처럼 연체이력으로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운 이들을 위해 정부에서는 지난 12일부터 ‘신용사면’ 제도를 시행했습니다. 오늘은 이 신용사면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 신용사면이란?

신용사면은 코로나19로 자금난을 겪는 개인과 개인사업자를 위해 대출을 연체하더라도 대출이 전액 상환되면 해당 연체 이력을 타 금융기관에 공유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2000만원 이하의 대출을 연체한 사람들이며, 12월 31일까지 대출을 전액 상환한다면 연체이력 정보는 공유되지 않습니다.

현행 시스템에서는 5일이라도 대출 상환이 늦으면 연체로 기록돼 금융기관 사이에 연체이력이 일정 기간 공유됩니다. 연체이력이 공유되면 신용점수가 떨어지거나 자칫하면 신용불량자로 전락해 금융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악화된 경기 환경을 고려해 이번 제도를 추진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으로 연체가 생기더라도 이를 성실히 상환한다면 연체이력을 공유하지 않음으로써 금융소비자들의 신용회복을 지원하겠다는 취지입니다. 금융당국은 230만명 이상의 연체자가 신용사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Q. 신용사면 대상자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신용사면 대상자는 연체액을 다 갚은 뒤 NICE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로(KCB), 한국기업데이터, SCI평가정보, 나이스디앤비, 이크레더블 등 신용평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유의할 점은?

신용사면 제도는 연체 기록을 삭제하는 것이 아닌 타 금융사와 신용정보회사에 연체이력을 공유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때문에 신용사면을 받더라도 대출을 받아 연체된 해당 금융사에는 연체 기록이 남습니다.

추후 본인이 연체한 금융사에서 대출을 다시 받게 되면 연체 기록이 대출 한도 및 금리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