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 별도 입장 없어···변호인 선임해 조사 대비

/ 사진=연합뉴스
김웅 국민의힘 의원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주재한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인 조성은씨와 국민의힘 김웅 의원 간 통화 녹취파일을 복구하면서 김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 고발사주 의혹 수사팀(주임 여운국 차장검사)은 최근 조씨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해 지난해 4월 조씨와 김 의원의 통화내용이 담긴 파일 2개를 복구했다.

복구된 녹취파일에는 지난해 4월 김 의원이 조씨에게 텔레그램으로 고발장 사진을 전달하기 전후에 이뤄졌던 통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MBC 등 일부 매체는 이와 관련 김 의원이 “대검 공공수사부에 전화해 놓겠다”, “내가 대검을 찾아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온 게 되니까 빠져야 한다” “내가 고발하면 검찰이 시킨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니 조씨가 고발하는 것이 좋겠다” 등의 구체적 정황을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공수처는 조만간 당사자인 김 의원을 불러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전날 서울중앙지검이 이첩한 사건을 정식 입건하고 김 의원을 피의자로 신분 전환했다. 공수처는 김 의원이 단순 고발장 전달자가 아닌 작성 단계부터 관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는 지난달 2일 손준성 검사가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이던 지난해 4·15 총선 직전 2차례에 걸쳐 당시 송파갑 국회의원 후보였던 국민의힘 김 의원에게 고발장 등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검찰은 제보자 조씨의 텔레그램이 조작되지 않았고, 손 검사가 고발장 전달에 관여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와 관련 손 검사는 “사건에 관여한 사실이 전혀 없다”며 “향후 공정한 수사가 진행된다면 진실이 밝혀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녹음파일 복구 보도에 김 의원을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그는 변호인을 선임하고 공수처 조사에 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공수처는 지난달 9일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 윤석열 전 총장과 손 검사를 피의자로 입건했다. 또 전날 김 의원 외에도 윤 전 총장의 아내 김건희씨, 한동훈 검사장, 정점식 의원을 추가 입건했다. 입건이 되면 피의자가 되고 검찰은 기소 또는 불기소 처분을 결정해야 한다.

공수처는 윤 전 총장 측이 이른바 ‘제보 사주’라며 맞불 고발했던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에 대해서도 국정원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정식으로 수사에 착수했다. 윤 전 총장은 고발 사주 의혹이 언론에 보도되기 전 박 원장이 제보자 조씨와 만나 고발 사주를 기획했다는 ‘정치공작’을 주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