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증인·참고인 요구명단에 하나은행 컨소시엄 관련 인물 포함
하나은행, 개발사업 주관사···지분율 14% 민간 최대 주주
야당, 화천대유 컨소시엄 포함 경위 두고 의혹 제기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경기 성남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이 금융권으로까지 연결고리가 확대되면서 해당 사업에 자금을 댄 금융사들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하나은행의 경우 개발사업의 주관사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자산관리회사(AMC)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와 엮이면서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30일 금융권 및 국회에 따르면 정무위원회 화천대유 의혹 관련 국정감사 증인 및 참고인 요구 명단에 하나은행 컨소시엄 관련 인물들이 포함됐다. 하나은행 컨소시엄은 대장동 개발사업의 우선협상자 및 대표 주관사로 선정됐으며 컨소시엄에는 이번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 논란의 핵심인 화천대유가 포함됐다.
화천대유 의혹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성남시장 시절 추진한 대장동 개발사업을 둘러싼 특혜 의혹으로 민간사업자인 화천대유에 막대한 수익이 돌아가면서 논란이 일파만파 확대되고 있다. 성남도시개발공사는 화천대유가 참여한 하나은행 컨소시엄을 민간 사업자로 선정한 뒤 특수합작법인(SPC) ‘성남의뜰’을 설립해 대장동 개발사업에 나섰다. 화천대유는 1%의 지분율에도 불구하고 4000억원대 배당수익과 3000억원 안팎의 분양수익을 거두면서 특혜 논란이 일었다.
성남의뜰에는 다수의 대형 금융사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성남의뜰 지분 구성은 성남도시개발공사(50.0%), 하나은행(14.0%), KB국민은행·IBK기업은행·동양생명보험(각 8.0%), SK증권(6.0%), 하나자산신탁(5.0%), 화천대유(1.0%)다. 개발사업 전체 지분 중 성남도시개발공사를 제외하면 하나은행과 하나자산신탁 등 하나금융 계열사의 지분이 19%로 가장 많았다.
정무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성남의뜰 주관사인 하나은행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위로 화천대유를 포함시킨 건지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화천대유는 공모 시점으로부터 불과 일주일 전인 2015년 2월 자본금 5000만원으로 설립된 신생회사로 당시 이렇다 할 개발사업 실적도 전무했기 때문이다. 야당 측에서 하나은행 컨소시엄 관계자들을 국정감사 증인·참고인 명단에 포함시킨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에 대해 하나은행 컨소시엄 측은 화천대유의 주요 인물들의 사업수행능력을 보고 결정한 것일 뿐 다른 고려사항은 없었다는 입장이다.
하나은행 컨소시엄 관계자는 “화천대유자산관리는 대표이사가 부동산 명도 전문변호사로 사업경험 및 부동산 자문 이력이 있었고 용인, 수원 등에서 도시개발사업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전문시행인력과 회계사, 감정평가사 등 전문가들로 구성돼 사업수행능력을 인정할 수 있었다”며 “하나은행은 컨소시엄 주관사로서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낸 공모지침에 따라 컨소시엄 참여를 희망하는 다른 참여사들과 함께 컨소시엄을 꾸려 같이 참여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