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인 NCRM 대표, 파산·한계기업 증가 상황에서 외상거래처 신용관리 관점 전환 필요성 제기
[시사저널e=이상구 의약전문기자] “지난해 1월 이후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 광풍이 불어닥치며 한계상황에 직면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외상거래처 파산으로 부실채권 발생 리스크가 높아지는 상황에 기업들이 대비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 신영인 NCRM손해보험중개 대표이사는 인터뷰를 시작하며 일부 국내 기업 상황을 걱정했다.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2020년 파산을 신청한 기업이 1000개가 넘었고 개인파산 신청자는 5만명을 넘었다. 특히 한계기업 수가 3465개로 집계돼 내년 대출원리금 상환 유예조치가 사라지면 많은 기업들이 파산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기업이 돈을 벌어 이자를 얼마나 잘 갚을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이처럼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채권자로서 판매기업들이 선택할 수 있는 신용관리 방안에 대해 신 대표에게 질문을 던져봤다. “기업들이 우량거래처를 많이 발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과제는 외상거래다. 신용거래를 하던 외상거래처가 갑작스럽게 부도를 낼 경우 판매기업에게 미치는 여파는 상상 이상이다.”
기업들이 매출을 올리기 위해 믿을만한 고객을 찾고 이들과 거래를 늘리는 과정에서 갑작스럽게 불행한 사태가 발생할 경우 수습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구매자 협상력이 높아지면서 판매기업이 담보를 확보하기 어려워지는 시장 상황인 만큼, 일부 발 빠른 국내 기업은 외상거래처가 잘못되는 상황에 대비해 담보나 보증서를 거래처에 요구하지 않고 스스로 대비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게 신 대표 설명이다.
“현재 유행하는 코로나 사태에 비교해 설명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사람들은 코로나 백신을 맞음으로써 코로나에 걸릴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한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외상거래처 부도를 피하기 위해 전문금융기관을 활용, 예방노력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실채권이 발생하는 경우 코로나 치료제처럼 부실채권 치료제로 신용보험이라는 전문 금융상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 같은 불경기 상황에서 기업들은 외상거래처 부도 위험 때문에 영업활동을 활발히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기업이 외상거래처에 제품을 많이 납품해 매출을 올리고 싶은데 부도 가능성과 위험 때문에 영업활동에 주력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신 대표는 토로했다.
“쉽게 설명하면 기업에도 외상거래처 부도에 대비하는 부도백신이 있다. 지금은 믿고 거래하지만 외상거래처가 부도를 내는 경우에 대한 대책, 즉 부도백신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부도백신을 활용, 기업경영에 리스크헷지와 매출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적극 찾을 시점이라는 것이 신 대표 주장이다. 흐름에 뒤쳐지는 기업은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게 그의 논리다.
“코로나 백신에 화이자,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있듯이 부도백신에는 국문상품과 영문상품이 있다. 부도백신을 제공하는 금융기관에는 국내 및 해외 신용보험회사 등이 포함된다.” 외견상 단순히 보면 신 대표는 손해보험중개업체 경영인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는 대학원에서 수학했으며 경제 관련 강의와 공부에 투자를 아끼지 않는 인물이다. 웬만한 교수 연구실을 연상시킬 만큼 수시로 전문서적을 학습하는 그가 펼쳐가는 기업경영에 필요한 부도백신 미래가 주목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