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서비스 자산 증가세…리볼빙 이월잔액은 5.8조원 달해
가계대출 규제 따른 카드론 취급 축소 영향
현금서비스·리볼빙, 카드론에 비해 이자 부담 높아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기조로 카드업계가 카드론(장기카드대출)을 바짝 옥죄고 있다. 이에 따른 풍선효과로 카드론 대신 현금서비스, 리볼빙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가계대출 규제가 결과적으로 대출 실수요자들의 선택지를 제한해 ‘고금리 절벽’으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BC카드 등 8개 전업계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자산은 총 5조4736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2525억원) 대비 4.2% 증가했다.
카드사별로 보면 삼성카드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삼성카드의 지난 6월 말 기준 현금서비스 자산은 1조10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802억원보다 14.8% 급증했다. 뒤이어 롯데카드가 지난해 6월 말 5086억원에서 5692억원으로 11.9% 증가했으며, 우리카드는 5344억원으로 현금서비스 자산이 1년 새 7.2% 늘었다.
리볼빙(일부 결제금액 이월약정) 서비스 잔액도 증가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8개 전업카드사의 리볼빙 이월잔액(결제일에 다 갚지 않아 다음달로 넘어간 채권 규모)은 5조8157억원이다. 이월잔액은 2017년 말 4조8790억원, 2018년 말 5조3169억원, 2019년 말 5조7930억원, 2020년 말 5조6504억원으로 3년 반 사이 19.2% 증가했다.
현금서비스와 리볼빙 서비스 취급 규모가 늘어난 배경에는 카드론 축소가 자리 잡고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15일 카드사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현대카드와 롯데카드 등에 가계대출 총량 지침 준수를 당부한 바 있다. 금융당국의 대출 관리 압박에 따라 카드사들이 카드론을 옥죄면서 막힌 대출 수요가 현금서비스와 리볼빙 서비스 등에 전이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현금서비스와 리볼빙 서비스가 카드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금리 대출상품에 해당해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장기카드대출인 카드론은 상환기간이 평균 1~2년, 최장 3년으로 현금서비스보다 상환기간이 길고 금리는 평균 13%대다. 반면 현금서비스는 단기카드대출로 대출 기한이 1~2개월로 짧으며 금리도 18%대로 더 높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는 서비스인 리볼빙 역시 평균 금리가 17%대로 이자 부담이 높다.
이에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결과적으로 생계자금 용도 등의 대출이 필요한 금융소비자들이 고금리 대출 상품을 찾을 수밖에 없게 되면서 선택지에 제한이 생겼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장기적으로 현금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지 않았으나 가계대출 총량 규제 준수로 카드론 취급 관리가 강화되다보니 현금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자산 규모가 반등했다”며 “가계대출 규제로 인해 카드사들이 카드론을 옥죄면서 일정 기간 이상 대출 자금이 필요한 금융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축소되는 결과가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