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상생 기금 5년간 3000억원 마련

그래픽 = 시사저널e
그래픽 = 시사저널e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카카오가 논란을 빚던 꽃·간식·샐러드 배달 서비스와 스마트호출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소상공인 지원 기금도 3000억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했다. 최근 문어발식 확장에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위기에 몰리자 나온 처방이다. 

카카오 주요 계열사 대표들은 13, 14일 전체 회의를 열고 골목상권 침해로 논란이 되던 사업에서 철수하고 혁신 사업 중심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플랫폼 종사자와 소상공인 등 파트너 지원 목적의 상생 기금도 5년간 3000억원 규모로 마련할 계획이다. 창업자인 김범수 이사회 의장이 소유한 케이큐브홀딩스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일었던 사업은 중단하기로 했다. 꽃·간식·샐러드 배달 중개 서비스 시장에서 철수하기로 했다. 단, 해당 서비스를 제공해 온 기업에 미칠 사업적 영향을 고려해 단계별로 축소할 예정이다.

김범수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해왔던 성장 방식을 과감하게 버리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장을 위한 근본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상생 플랫폼 구축 계획을 공개했다. 돈을 더 내면 카카오텍시를 더 빨리 부를 수 있는 스마트호출 서비스는 전면 폐지한다. 택시 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요금을 월 3만9000원으로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대리운전 기사들에게 부과하던 20% 고정 수수료 대신 0~20%의 범위로 할인 적용되는 ‘변동 수수료제'도 전국으로 확대한다.

가맹 택시 사업자와의 상생 협의회도 구성한다. 서울 지역 협의체는 100여 개 택시 운수사업자가 참여한다. 향후 지역별 ‘가맹택시 상생 협의회(가칭)’를 구성해 전국 법인 및 개인 가맹택시 사업자들과 가맹 사업 구조 확립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