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말 지원금 종료시 LCC 무급 휴직···구조조정 우려도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가 신규 저비용항공사(LCC) 항공 면허를 발급받았다. /이미지=최창원 기자
 / 사진=시사저널e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업계가 이달 말 고용유지지원금 종료가 가까워지면서 위기에 몰렸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하반기에도 국제선 여객 운항이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 LCC는 고용유지지원금마저 끊길 경우 구조조정까지 고려해야 할 정도로 자금 사정이 악화된 상태다.

정부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은 9월 30일 기점으로 만료된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사업주가 노동자에게 제공하는 휴업·휴직 수당에 대해 정부가 일정 부분을 지원하는 보조금이다. 사업주가 고용을 유지한다는 조건 아래 유급 휴직의 경우 평균 임금의 70%에 달하는 휴업 수당을 최대 90% 지원하고 나머지 10%는 기업이 부담한다. 연간 180일까지 지원하며, 최대 90일 연장 가능하다.

이후에는 무급휴직으로 전환한다. 전환시 임금의 50%를 보전 받으며 상한액은 최대 198만원이다. 예를 들어 유급 휴직에서 무급휴직으로 전환할 경우 월급 200만원을 받는 직원의 지원금은 월 14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월급 400만원 직원은 280만원에서 198만원으로 줄어든다.

최근 대한항공은 이달 말 정부 지원이 종료되더라도 자체적인 수당 지급을 통해 유급 휴업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대한한공은 코로나19 여파로 항공업계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5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면서 선방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수당을 지급할 여력이 있는 상태다.

반면 LCC의 경우 정부 지원이 종료되면 무급휴업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 LCC의 경우 여객 사업이 수익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국제선 운항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수당을 지급할 자금 여유가 없다.

상반기 진에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등 상장사 4개사의 영업손실은 4417억원으로 작년 대비 손실폭이 확대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적자가 계속되면서 잉여금이 바닥나고 자본 총계가 납입 자본금보다 적어져 자본잠식이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적자가 계속되고 유동성 상황이 악화되자, LCC업계는 유상증자와 영구채 발행, 대출 등을 통해 현금 확보에 나섰으나 급한 불을 끄는 수준에 불과하다.

결국 고용유지지원금이 끊길 경우 LCC는 무급휴업을 선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직원들이 이탈하거나, 인건비 절감을 위해 인력 조정이 진행되는 등 고용절벽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는 지난 2일 성명서를 통해 “지난 6월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연장 결정에 고용 불안은 다소 해소됐지만, 지금은 그 때보다 상황이 더 악화된 만큼 추가 연장해야 한다”며 “정부는 국가 기간 산업 역군으로 그동안 헌신해온 항공 종사자들의 고용 불안을 외면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경제단체도 항공업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경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항공업의 경우 올해 상반기 6개사 매출액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매출액이 46.8% 감소했지만 고용은 4.8% 감소하는데 그쳐 고용유지지원금의 역할이 컸다고 말했다.

하지만 LCC 4개사의 매출액은 같은 기간 79.9% 감소하는 등 피해가 더 커, 지원금이 중단되면 LCC를 중심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